군중심리 노리는 상가투자 "경계령" 

   
 
"
최고경쟁율 수십 대 일로 청약마감" 소식을 접하게 되면 큰 관심이 없던 투자자들도 눈길이 한번 더 쏠리게 되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무슨 일인데 사람들이 이렇게 모이는 거지? 라는 호기심은 표시상품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어 마감된 상품말고 같은 지역 내에 다른 상품이라도 찾아볼까? 싶은 투자욕구를 자극하게 된.
 
하지만 청약경쟁율에 대해 투자자들의 입자에서는 분위기를 타기보다는 깊이있는 성찰이 좀 필요하다.
 
지난해 11월 서울 4대문 안에서 견본주택에 2만여 명이나 몰리면서 흥행몰이를 했던 모 건설사의 아파트는 청약경쟁은 최고 49:1, 평균 3.5:1이라는 대성공의 모습을 보였었다.
 
흥행의 모습대로라면 이미 분양이 진즉에 마감되었어야 하지만 6개월여가 지난 지금 일반분양분 1085가구 150여 가구가 아직 미분양중이라고 한다.
 
미분양의 원인을 분석을 두고 3.3당 평균 2300만원에 달하는 고분양가 때문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분위기에 편승해 해당상품을 꼼꼼하게 따져보지 않고 청약을 했다가 나중에 계약을 포기하는 '묻지마' 청약이 주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묻지마 청약에 가세했다 할지라도 자신의 투자목적과 맞는지를 따져 나중에라도 계약을 포기한 경우라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대규모 세몰이에 현혹돼이것저것 따져보지도 못하고 덜컥 계약이라도 한 계약자라면 미분양소식을 알게 되면서부터 밤잠을 못자고 설치기에 충분한 일이 되어버린 셈이다.
 
부하뇌동 상가 투자 비일비재
 
이런 현상이 비단 아파트 투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상가투자에도 이런 현상이 비일비재 일어나고 있어 부하뇌동하는 투자자들이 경계해야할 사안이라 하겠다.
 
상가 투자현장에서 분위기에 편승하게 되는 사례들을 보면 주상복합아파트를 공급하면서 견본주택에 대거몰린 군중과 청약경쟁율의 여세를 몰아 상가분양으로 분위기를 이어가는 경우에 상권의 입지가치나 상가의 효용성 등을 따져보기 전에 유명건설사의 인기분양 상품이라는 분위기에 편승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청약율이 계약률을의미하는 것도 아닐뿐더러 아파트와 상가의 부동산으로서의 가치는 동일하지도 않은 점을 간과한 편승형 투자로 낭패를 보게 되는 경우이다.
 
또 다른 경우는 상가의 경쟁입찰공급 시에도 발생하고 있는데 LH단지 내 상가등과 같은 상품은 전자입찰을 실시하고 있어 현장의 세몰이에 따른 분위기 편승형보다 차분하게 진행되는 편이지만 민간공급 상가에 있어서는 대부분 현장투찰로 진행되면서 현장분위기에 좌지우지되는 경우들이 많이 생겨나기도 한다.
 
상품에 대해서 보다 꼼꼼하게 분석해서 투자전략을 세우기보다 현장분위기가 어떤가 싶어 참고하려다 되레현장의 군중몰이에 압도되는 경우도 투자자들이 경계해야하는 투자패턴이라 하겠다.
 
이외에도 다른 사례들을 보면 신청금 입금을 종용하는 마감임박전략등도 있는데 아파트 청약금처럼 신청금을 넣어두었다가 수일간의 생각할 여유를 주고 계약을 포기하면 신청금을 돌려주는 방식이다.
 
상가투자 가공 수익률 유의해야
 
대다수 상가분양 현장들이 투자자가 고민 끝에 신청금 환불요청을 하면 자금관리회사 등을 통해 투자자 명의의 통장으로 환불을 해주지만 일부현장에서는 환불을 차일피일 미루거나 현장에 직접 방문해야만 환불을 해주겠다는 방식으로 투자자를 설득할 빌미를 만들기도 한다.
 
금방 마감될 것 같았던 상가가 두어 달을 두고 실랑이를하면서까지 남아있는 상황들을 감안하면 투자자들이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는 것이 중요한 투자노하우 중 하나라 수 있다.
 
특히나 아파트의 경우는 청약제도의 공식화된 부분으로 인해 분양률 집계 등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가의 경우는 공식적인 집계가 되고 있지 않아 공급자의 일방적인 자료에 의지할 수 밖에 없어 주의가 필요하다.[선종필=상가뉴스레이더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