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 대규모 감원이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조선업계 대량 감원 예고에 청년 취업난과 별도로 기존 취업자 대량 실업이 가시화될 것인지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막대한 적자를 낸 조선업계의 구조조정은 어느 정도 예상은 됐지만 거론되는 규모는 상상을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대우조선해양은 5조2950여억원을, 삼성중공업은 1조4040여억원의 적자를 각각 낼 것으로 조선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적자 규모가 가장 큰 대우조선해양에선 최근 애초 거론되던 300명 선의 10배인 3000명 감원설이 제기됐다. 3000명 감원이 현실화될 것인지는 대우조선해양, 더 나아가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업계 구조조정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향후 자구계획 이행과정에서 노조원들에 대한 불이익이 있을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도 경영진이 최근 현장 근로자들에게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한 약속을 여전히 신뢰하고 있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채권단의 계획대로 구조조정이 진행된다면 그때 가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경우에 따라서는 채권단과 노조의 마찰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노조는 채권단에 낸 자구계획 동의서를 통해 임금을 동결하고 파업을 하지 않는다고 약속해 행동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생산직은 그대로 두고 사무·기술직만 구조조정하는 것도 또다른 문제를 야기할 것이란 목소리도 나온다. 선박 디자인·설계 등의 필수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은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삼성중공업도 대우조선해양과 입장은 다르지만 대규모 적자를 낸 마당이어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피해갈 수 없을 것이란 게 조선업계의 대체적 시각이다.

성동조선해양 등 도내 중소형 조선사들은 불황이 닥치면서 조직 슬림화 등 구조조정을 상시적으로 진행해 와 당장 눈에 띄는 수준의 구조조정은 보이지 않고 있다.

조선업계는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소도 문제지만 협력사들의 구조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협력사들은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 등의 발주 물량이 줄어들 경우 매출 감소 등의 직격탄을 맞게 된다. 발주 감소 등 부작용이 본격화하지 않고 있지만 불황이 장기화할 경우 인력 감축 등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금 수혈이후 경기가 호전되지 않을 경우 연쇄적인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고 민영화 향방에 따라서 대우조선해양과 협력사들은 물론 타 조선소에 또다른 태풍이 불어닥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