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푼돈 10억엔에 소녀상 철거모양 등 아니면 말고식 비난 수위높여

[미디어펜=이서영 기자]이재명 성남시장이 한일 위안부협상 타결에 대한 비난 수위를 갈수록 높아가고 있다.

3일 정치권과 여론에 따르면 이 시장은 한일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해 "아베총리가 던져주는 푼돈 10억엔에 소녀상을 철거할 모양"이라는 등 아니면 말고식 정치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야당정치인 특유의 '위안부 마케팅'으로 언론의 관심을 끌어보려는 속내도 엿보인다. 이재명 시장의 위안부 문제와 관련, 가장 자극적인 메시지는 정부가 푼돈 10억엔에 소녀상 철거를 약속했다는 것.

이시장은 지난 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적선하듯 아베총리가 던져주는 푼돈 10억엔에 소녀상 철거를 약속할 모양이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은 이어 "청와대는 유언비어라지만 정작 일본정부에 공식 항의는 물론 이를 보도한 일본언론에 정정보도조차 요구하지 않는데 과연 누구 말이 진실일까요"라고 강변했다.

정부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도 지난 30일 "사실과 다른 유언비어들이 난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소녀상 철거를 전제로 돈을 받았다는 등 사실과 다른 보도와 사회혼란을 야기시키는 유언비어는 위안부 문제에 또 다른 상처를 준다고 지적했다.

이시장은 이어 "정부가 소녀상을 철거하려면 성남으로 보내달라"고 주장했다. 정부가 소녀상 철거를 부인하고 있는 것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정부가 요청한다고 해서 철거되는 것도 아니다. 일본대사관 맞은편에 설치된 소녀상은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민간단체가 세운 것이기 때문이다.

이 시장의 메시지 중에는 일반인의 상식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도 있다. 그는 "인권이나 민족, 국가자존의식은 관심도 없이 오직 돈밖에 모르는 추한 군상들 같으니"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가 최선을 다해 도출한 합의안에 대해 '돈밖에 모르는 추한 군상들'로 매도한 것.

아무리 더불어민주당 소속 선출직 시장이라고 하지만, 품위를 잃은 발언으로 비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시장은 심지어 이번 합의는 무효라고 정치공세를 벌였다. 행정부의 고유한 권한인 외교사안에 대해 국회동의 운운하며 헌법위반이므로 무효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이시장이 역대 좌파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매우 소극적인 대응을 해온 것을 애써 모른체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대중정부, 노무현 정부 등 좌파 정부 10년간 위안부문제는 뒷전으로 쳐졌기 때문이다. 98년 김대중-오부치 게이조간 한일정상회담에선 위안부 문제를 더 이상 거론하지 않겠다고 했다.

한일간 미래지향적 관계를 구축해 나가자고 선언했다. 노무현대통령도 한일정상회담에서 김대중정부의 기조를 이어갔다. 좌파정부의 이같은 소극적인 위안부 대책에 대해 위안부들은 물론 좌파시민단체들조차 비판한 바 있다.

김대중-노무현 대통령이 관심을 두지 않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박근혜정부가 도출한 합의안을 이시장이 무조건 비난하는 것은 균형을 잃은 행태로 비칠 수 있다. 좌파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한 것부터 사과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는 전문가들이 많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소신과 원칙을 바탕으로 아베정부로부터 공식적인 사과와 책임인정, 10억엔 기금조성 등의 최고의 성과물을 낸 것을 애써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극우적인 아베정권을 상대로 이같은 성과물을 낸 것은 현 단계에서 얻어낼 수 있는 값진 합의안이라는 점도 무조건 폄훼하고 있다.

그는 박근혜정부를 겨냥한 듯 "친일매국 잔존세력의 국권침탈이 도를 넘고 있다"고 했다. 성남시민들의 행정책임자가 극단적인 발언을 해도 되는지에 대해 시민들은 우려하고 있다. 시정에 전념해야 할 시장이 행정과 관계없는 자극적 정치발언을 일삼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전문가들은 이시장의 편협한 정치적 발언에 대해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다.

정부가 최선을 다한 협상에 대해 친일매국, 협상 무효, 10억엔 푼돈에 소녀상 철거 약속한 듯 등의 정치공세를 벌이는 것은 향후 한일관계 협상에 심각한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이시장의 극단적인 정치발언은 얼마남지 않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미디어펜=이서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