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연주 기자] 중국이 25년 만에 국내총생산(GDP) 7% 성장 달성에 실패하면서 경기둔화 추세가 공식 발표된 거시경제 지표로 확인되면서 한국경제가 받을 악영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고속 성장을 구가하던 중국 경제가 둔화 추세를 보임에 따라 중국에 대한 교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도 덩달아 적신호가 들어왔다.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는 대(對) 중국 수출 의존도가 25%를 넘는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요소다. 중국 경기가 나빠지면 중국 내 수요가 감소해 대중 수출이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 정부는 G2 리스크 가운데 미국의 금리 인상보다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 문제에 한층 더 촉각을 세우고 대응책을 모색해 왔다.

중국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는 자본시장에서 먼저 나타났다. 새해 첫 거래일인 지난 4일부터 중국 증시가 폭락세를 보인 이후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금융시장은 급속도로 위축되는 양상이다.

중국의 4분기 경제성장률 지표는 중국발 불안이 실물 경제에서 재차 확인된 것이어서 중국 경제의 미래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중고속 성장기에 접어들면서 고도 성장기의 과잉투자에 대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로 인한 여파를 한국경제는 고스란히 감내해야 한다.

지난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중국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직·간접적인 경로로 한국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미쳐 0.2∼0.6%포인트가량 떨어뜨리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대중 교역 의존도가 높다 보니 당분간은 민감하게 영향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펴겠다는 의지를 밝혀 경착륙보다는 완만하게 성장률이 떨어지는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중국 경기둔화 등 각종 대외 악재를 상정한 시나리오를 마련해 두고 상황에 맞는 대책을 가동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작년 말 내놓은 '2016년 경제정책방향'에서 'G2(주요 2개국) 리스크' 가운데 미국 금리인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했다.

반면에 중국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해선 한국 경제의 높은 의존도를 고려할 때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연초 들어 중국 경기둔화 우려가 중국 증시 폭락과 위안화 평가절하로 현실화하면서 국내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줬다.

정부는 북한의 4차 핵실험, 국제유가 폭락세 지속이라는 악재까지 잇따라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취임 후 처음 주재한 확대간부회의에서 "예상보다 빨리 중국을 필두로 한 대외 경제 불안요인이 닥쳐오고 있다"며 "대내외 경제 여건을 상시 모니터링해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