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일각 사퇴 당위론 제기... KT는 "임기 채울 것" 입장 표명
KT 이석채 회장이 사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수그러 들지 않고 있다.

새정부 들어 물갈이가 지지부진 한 가운데 지난 26일 한국거래소(이하 KRX) 김봉수 이사장의 사의 소식이 업계에 큰 관심으로 떠 올랐다. KRX가 공기업 가운데 직원 평균연봉이 1억원을 상회하며 랭킹 1위인 것도 있지만 KRX가 자본주의의 상징적인 기구이기 때문이다. 

김봉수 이사장의 사의 발표후 시선이 ICT 대표기업인 KT 회장의 거취로 다시 시선이 쏠리고 있다. KT는 지난 5월초 이틀에 걸친 기자간담회 뿐아니라 28일에도 이석채 회장의 퇴진은 없다고 확인했다. 그럼에도 직원수만 3만2천여명에 달하고 자회자만 60개에 달하며 자산규모가 공기업포함 재계 15위에 달하는 대기업집단이기 때문에 세간의 관심을 독차지하고 있다. 

우선 KRX(KOREA EXCHANGE)와 KT(KOREA TELECOM)는 KOREA로 시작된다는 것 외에 딱히 공통점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찬찬히 살펴보면 몇가지 공통점이 보인다.
 
우선 이들 기업들은 내부에서는 사기업이라고 주장하지만 외부에서는 공기업 내지 공기업적인 성격이 강한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KRX는 증권사들이 주요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정부지분이 없기 때문이 자신들은 사기업이라고 강하게 주장한다. 하지만 자본시장법 등에 의해 독점성을 보장받는 기업이기 때문에 지난 MB정부에서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KT의 연혁을 보면 정부가 81년 체신부에서 전기통신사업을 분리하여 한국전기통신공사(KTA)를 설립하였고 91년부터는 '한국통신'을 약칭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2001년 사명을 현재의 KT로 변경하였으며 2002년에는 정부지분을 전량 매각하면서 완전민영화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지배하는 국민연금이 최대주주를 차지하고 있다. 5월 28일 현재 7.64%에 달한다. 그래서 KT는 포스코처럼 실질적으로는 아직도 민영화가 되지 않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 2대주주는 기관투자자인 미래에셋자산운용투자자문 4.52%, 우리사주 1.2%,자사주 6.7%(비의결권주)  등의 순이다. 외국인 비중은 46%가량 된다.

KRX 이사장은 정부가 정식절차에 의해 이사장을 선출하고 있으며 KT CEO는 정부가 공공연하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 CEO 선임에 키를 쥐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서 KT와 국민연금 홍보실은 정부 입김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둘째 김봉수 이사장과 이석채 회장은 모두 MB정권 때 취임한 인사들이다. 김 이사장은 2009년 12월부터 임기3년을 채운후 1년 연장 상태로 정식임기는 올해 12월까지이다. 이석채 회장은 2009년 1월 임기를 시작하여 지난 해 3월 연임에 성공하여 2015년 3월까지 임기가 남아 있다.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있는 것 처럼 그 정도 했으면 할만큼 했다고 하는 의견이 많다. 
 
두 CEO 모두 임기가 남아 있지만 KRX 이사장은 정권이 교체되었기 때문에 사의를 표명하였다. 이석채 회장도 정권의 도움으로 임명된 인사라면 당연히 물러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KT 홍보실의 관계자는 이석채 회장은 정부에 의해 임명된 것이 아닌 사장추천위원회에서 임명되었다며 임기를 지속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KT 홍보실 직원에게 그럼 CEO추천위원회 인사를 이석채회장의 측근으로 임명할 경우 오너도 아닌 이석채회장이 종신회장도 가능한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KT 홍보실의 관계자는 "정관 등 내규를 확인해야 하는데 거기에 CEO에 대해서 나와 있다"며 "CEO는 지분소유가 아니고 평가 받아서 임명된다"고 확답을 피했다.

한편, 국민연금이 최대주주나 대주주로 참여하는 기업중 창업오너가 없는 기업 즉 KT(7.64%), 포스코(5.99%), 국민은행(8.58%) 등은 사실상 공기업으로 봐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정부는 뒤에서 숨어서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이 아닌 당당하게 CEO 선출 등 의결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거대 기업이 무주공산이 될 가능성이 높아 오너쉽도 없는 엉뚱한 세력이나 개인에 의한 사유화도 우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