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북세력의 용어혼란 전술 방치땐 자유민주주의 체제 위협당해

종북세력들의 정치 역사용어가 정상용어로 둔갑하고 있다

종북과 반체제 인사들이 우리사회를 혼란시킬 목적으로 쓰는 정치사상과 역사용어들이 정상적인 용어로 둔갑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좌파들의 역사왜곡에 맞서 성공한 대한민국 역사 알리기에 힘써온 강규형 명지대교수는 한국경제연구원(원장 최병일)이 16일 대한상의에서 개최한 <바른 용어(정명, 正名)를 통한 사회통합의 모색>이란 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강교수는 1970~80년대 친북 및 안보위해 세력들의 용어혼란 전술을 방치하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위협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회를 맡은 현진권 한경연 사회통합센터 소장은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복잡한 갈등들은 바른 용어를 쓰지 않는데서 비롯되고 있다”면서 “이같은 혼란이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연 사회통합센터는 최근 <사회적이란 용어의 미신>이란 책을 내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관한 용어 바로잡기에 나서고 있다.

사회통합센터는 좌파 및 진보세력들이 사회적 책임 및 사회적 정의 등 사회적이란 용어를 통해 감성적인 왜곡을 해왔다고 보고 있다. 좌파들은 마치 자유주의와 시장경제가 사회적인 것의 대척점에 서는 것처럼 국민들을 오도해왔다는 것이다.

한경연은 경제분야의 바른 용어 사용을 넘어 역사와 정치, 복지, 문화 분야 등에서도 국민들에게 혼란과 잘못된 인식을 주는 용어들을 바로잡는 데 적극 나서기로 했다.
정치분야 발제를 맡은 김인영 한림대 교수는 정치 용어들이 정치적 목적 때문에 왜곡되고, 정확한 개념을 상실하는 용어가 많다고 지적했다. 예컨대 논란이 되고 있는 사회민주화, 경제민주화의 경우 민주화라는 용어를 통해 국민과 언론에 긍정적 이미지를 심고자 하는 좌파세력들의 용어조작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따라서 ‘사회민주화’는 ‘복지확충’으로, ‘경제민주화’는 ‘경제적 평등의 추구’로 불러야 개념을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복지분야 발제를 맡은 임병인 충북대 교수는 복지 용어들이 잘못 사용돼 국민들의 복지정책에 대해 이해와 정책순응 여부가 잘못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들이 내는 소중한 세금이 잘못된 복지정책으로 인해 낭비되고, 국민갈등만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복지수요’는 ‘복지욕구’로, ‘복지투자’는 ‘복지지출’ 또는 ‘복지재원 투입’으로, ‘사회보험 사각지대’는 ‘사회보험 미적용 지대’로,‘ 사회적 입원’은 ‘요양병원 무연고거주’ 또는 ‘불법거주’로 바꿔 불러야 한다고 제안했다.

문화 분야도 도마에 올랐다. 조희문 인하대 영상예술학부 교수는 “급진 사회주의자들이 문화와 예술을 이용해 이념화, 조직화, 세력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해왔다”고 비판했다. 
 

이날 토론회는 권희영 한국학 중앙연구원 교수, 이명희 공주대 교수,  김광동 나라정책연구원장, 이영조 경희대교수,  송원근 한경연 공공정책연구실장, 최승노 자유경제원 사무총장,  남정욱 숭실대 교수, 이문호 한림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