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가치 하락으로 상환부담이 줄어들면서 대출을 갚거나 원화 대출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시중은행의 엔화대출 잔액이 1년 전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하나·국민·우리·외환·농협·신한 등 6개 은행의 엔화대출 잔액은 4,042억7,226만엔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동기의 5,744억2,797만엔 보다 29.6% 줄어든 수치다.

신한은행이 946억엔으로 가장 많았고, 우리은행(738억엔)과 하나은행(788억엔), 국민은행(673억엔), 외환은행(492억엔), 농협은행(407억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엔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기업들이 환차익을 노리고 상환하거나 원화 대출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실수요자 위주의 대출 운용으로 엔화대출 잔액이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엔화가 비쌀 때 대출받은 기업이 환차익을 노리고 상환하는 사례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도 "과거 저금리 효과를 보기위해 원화 대출로 갈아타는 것을 꺼리던 엔화대출 고객들이 위험 관리 차원에서 원화 대출로 전환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엔화 약세 현상이 두드러지자 은행권은 원·엔 환율 변화에 민감한 수출기업 지원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엔저 현상이 장기화하면 환 위험에 취약한 중소 수출업체가 부실화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엔화대출의 원화 전환 서비스 기간을 6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원화 전환시 중도상환수수료도 면제해준다.

국민은행은 엔화대출을 받은 기업체 고객에게 환율 정보와 환 위험 관리의 필요성을 알리는 공문을 발송하고 있다.

또 수출환어음을 추심 후 매입하는 기업에 추심 전 매입으로 전환해 대금의 조기회수 효과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 중이다. 결제통화도 엔화 대신 상대적으로 변동성인 낮은 유로화 등으로 변경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외환은행도 일본 수출 비중이 30% 이상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종전보다 0.2%포인트 낮은 금리로 조건부 무역금융 대출을 실시하고 있다.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역량 확충을 위해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의 수출금융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환율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거시건전성 3종 세트(선물환 포지션 제도,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외환건전성 부담금)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