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 유료화, 뒤통수 맞은 개발사·고객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전기차 보급을 위해 꼭 필요한 급속충전시설의 확산이 시급한 상황 속에서 충전시설의 이용료가 유료화로 전환되자 차주들의 불만이 높아가고 있다.

전기차의 대중화에 걸림돌이던 비싼 차값과 짧은 주행거리에도 불구하고 값싼 연료비와 친환경이라는 혜택을 감안해 선택받았던 전기차였지만 충전시설의 유료화로 외면받을 위기에 놓인 것이다.

전기차 차주들은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에 단단히 뿔난 모양새다.

   
▲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부터 환경부는 시범사업 기간 동안 무료로 제공했던 전기차 급속충전기 사용료를 kWh당 313.1원씩 부과하기 시작했다./미디어펜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부터 환경부는 시범사업 기간 동안 무료로 제공했던 전기차 급속충전기 사용료를 kWh당 313.1원씩 부과하기 시작했다.

국가 재정 부담을 줄이고 민간 충전사업자의 육성을 위해 충전요금 유료화를 해야 한다는 환경부의 계획이다.

하지만 이런 환경부의 입장에 업계 안팎에선 좋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해외 자동차시장에서 보여주고 있는 추세와는 맞지 않는 다는 이유에서다.

연간 7만대 수준으로 전기차를 보급되고 있는 미국에선 전기차 충전요금징수를 하고 있지만 kWh당 12센트로 한화로 환산하면 약 130원 정도의 가격으로 제공하고 있고 이마저도 업체들이 지원금을 통해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전기차보급은 한참 미흡한 5500여대 수준의 보급량을 보이고 있다. 올해 정부가 보조금 지원하는 물량은 8000대로 지난해 보다 2배가량 늘었지만 여전히 미국에 비해 한참 모자라는 수준이지만 요금수준은 미국에 비해 2배 이상 비싸다.

전문가들은 민간충전 사업자들이 시장에 뛰어들면 정부가 제시한 요금 수준보다 더 비싸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환경부가 설치·운영하고 있는 급속충전기는 전국에 337곳이다. 주유소가 1만2400여곳인 것과 비교하면 한참 모자란다. 한 번 충전된 전기차 운행 가능 거리도 130㎞ 안팎에 불과하다. 냉난방 등에 들어가는 추가 연료까지 감안하면 최소 60~80㎞당 한 곳의 충전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영동 및 호남고속도로의 급속충전기 간 최장 간격은 각각 169㎞와 171㎞에 이른다. 전기차로 이 고속도로를 달린다면 중간에 연료가 떨어져 고속도로 한복판에 설 수도 있다. “환경을 보호한다며 지원금을 주면서 팔아놓고 그 뒤엔 대책이 없다”고 소비자들이 불만을 터뜨리는 이유다.
 
인프라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덜컥 전기 요금부터 징수하면 전기차 시장이 크게 위축될 것이란 우려도 크다.

전기차업체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이 커지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충전소 공급”이라며 “충전소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 전기차 대당 보조금은 1500만원에서 1200만원으로 줄이고 거기다 전기 요금까지 징수하면 어느 소비자가 전기차를 사겠느냐”고 반문했다.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에너지 신산업 정책의 핵심이다. 성급한 요금 징수로 전기차 시장의 성장 동력이 죽어 버리는 건 아닐까 우려된다.

이와 관련해 또다른 업계관계자는 “전기차 보급을 외치고 있는 정부에서 역으로 정책을 펼치는 꼴이다”며 “일관된 정책을 펼쳐줘야 기업에서도 이에 맞는 방향성을 설정 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