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여야 산다" vs "줄이면 안된다"
[미디어펜=고이란 기자] 구조조정이 한창인 조선업계에 자구안 계획이 속속 마련되면서 이를 보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업황의 불황의 끝을 가늠할 수 없음에 정부의 일방통행식 구조조정이 오히려 업계의 부진을 더욱 끌어내릴 것이란 우려때문이다.

   
▲ 구조조정이 한창인 조선업계에 자구안 계획이 속속 마련되면서 이를 보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사진=현대중공업

16일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2016년 1분기 조선·해운 시황’ 보고서를 발표하고 현재 조선업계의 남은 일감을 2년치 이하로 추정했다. 또한 올해도 발주 시장이 극적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낮을 것이며 신조선 수주는 오는 2017년에 큰 폭으로 회복한 후 2018년에 정상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적어도 2~3년 업황 부진 전망이 나오면서 구조조정의 규모 또한 조선업계와 채권단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 늦춰진 구조조정으로 인해 업계의 생존문제가 더 불거졌던 만큼 신속한 구조조정과 과감한 선택만이 업계를 살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만, 천편일률적인 잣대로 인한 인력 감축은 한국만의 우수한  인재를 잃을 수 있어 차별화된 기술력 승부수를 띄울 수 없다는 위기감도 공존하고 있다.

국내 대형 조선 3사는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생산능력 줄이기에 나선다. 현대중공업을 시작으로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도 도크의 순차적 잠성 폐쇄 방침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조선3사가 인력감축을 포함한 비핵심자산 매각 등의 선제적 구조조정에 나설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업계 CEO들도 노조를 만나 불가피한 구조조정임을 설득하며 협조를 구했다.

권오준 현대중공업 사장은 지난 10일 임단협 상견례 자리에서 “도크 가동 중단이 현실화되고 다른 사업본부도 30%가량 일감이 줄었다”며 “정부와 채권단은 강력한 자구계획 제출을 요구하고 있는데, 회사 생존을 위해 한마음으로 힘을 모아줄 것을 간곡히 당부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도 노조와 만나 “시장이 회복돼 정상적인 수주 활동을 할 수 있는 대외 환경이 조성될 때까지 살아남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며 “경영정상화를 목적으로 한 현재의 자구계획에 추가해 기존 계획 대비 더 처절하고 혹독한 자구노력 의지를 반영해야 정부, 채권단, 국민이 납득할 수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현재 인력, 임금, 설비 규모 조정을 포함한 전반적인 대응 방안을 5월 말에 내놓을 예정”이며 “다만 우리 스스로 생존할 수 있는 기반인 기술경쟁력과 인적 경쟁력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조는 몸집 줄이기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한 정부의 일방적인 구조조정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는 의견이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조선산업은 고기능 인력중심 사업이고 일반직 고기능 노동자들을 ‘희망을 가장한 정리해고’로 내보내는 것은 회사가 제 무덤을 스스로 파는 격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매년 정년으로 1000명씩 회사를 퇴직하는 상황에서, 정규직 신입사원 채용은 따라 가지 못하고 품질경쟁력은 크게 떨어지고 있다”며 “따라서 3000명 희망퇴직 밀어붙이기는 현대중공업 미래성장 동력을 경영진 스스로 던져 버리는 잘못된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현시한 대우조선해양 노조위원장도 “세계경제 불황과 유가하락에 따른 조선경기의 어려움을 한국 조선산업의 구조적 문제와 공급과잉이라는 그릇된 시각의 잣대로 일방적인 조선업종 구조조정이라는 칼날을 들이밀고 있는 정부로 인해 모든 조선업종의 노사가 어려운 상화에 처했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조선3사가 구조조정으로 당장 다운사이징 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물량과 인도 상황 등을 봐가면서 계획을 세우는 것이라 분석된다”며 “조선사마다 인력규모도 다르기 때문에 희망퇴직 인원수만을 가지고 무리한 구조조정이라 판단할 수도 없는 문제”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고이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