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동시장의 효율성이 2007년부터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세계경제포럼(WEF)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평가'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노동시장 효율성'이 2007년 24위에서 2015년 83위로 하락했다고 최근 밝혔다.

또 노동시장 효율성 지표를 구성하는 8개 세부 항목에서 순위가 모두 하락했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노사간 협력'이 2007년 55위에서 2015년 132위로 하락했다.

'임금결정의 유연성'은 25위에서 66위로, '고용·해고 관행'은 23위에서 115위로, '정리해고 비용'은 107위에서 117위로 낮아졌다.

'임금 및 생산성'(9위→24위), '전문경영진에 대한 신뢰'(33위→37위), '인재를 유지하는 국가 능력'(20위→25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79위→91위) 등의 항목에서도 경쟁력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특히 '노동시장 효율성'이 2008년 41위에서 2009년 84위로 1년 만에 급락했다고 지적하고서 "2009년에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0.7%에 머물렀고 기간제 근로자 사용을 2년으로 제한한 비정규직법이 확대 시행된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순위가 100위 뒤로 밀린 '노사간 협력', '고용·해고 관행', '정리해고 비용' 등 3가지 항목에 대해 "노동시장 효율성을 끌어내리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