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30년 이상 북한과 ‘절친국’이던 아프리카 우간다가 북한과의 군사·경찰 교류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우간다는 현재 북한 군인과 경찰 수십명이 훈련교관으로 파견돼 있는 상태에서 북한과 협력관계를 단절을 선언했다. 북한제 무기 수입도 축소하거나 중지할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5일부터 31일까지 에티오피아·우간다·케냐 등 아프리카 3개 국가를 순방하면서 이들 국가들과 경제협력을 약속하고 대북 압박에 동참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북한과 군사·치안 분야에서 친밀한 관계를 맺어온 우간다가 입장 변화를 보인 것은 북한과 가깝던 아프리카 국가들 사이가 예전 같지 못하고, 이런 허점을 잘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과거 북한의 무상 지원을 받던 아프리카가 지금은 북한의 외화벌이를 위한 또 하나의 국가로 전락한 것이 사실이다. 북한이 특히 아프리카 국가들에 군사 분야에서 전적으로 무상 지원한 역사가 있다.  

에티오피아나 우간다도 과거 북한의 현금을 포함한 지원을 많이 받았다.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은 1986년부터 대통령을 하고 있는 인물이다. 과거 평양을 세차례나 방문해서 김일성과 세 번 만났다.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작년까지 최근 2년동안 세차례 우간다를 찾았다.

북한과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교류 협력의 정도는 상당히 긴밀하다. 정통한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특히 아프리카 국가에 군대를 창설해주는 것은 물론 무세비니 대통령의 호위군을 조직해주고, 호위군의 행동지침을 가르치는 등 훈련·양성해왔다. 

이를 위해 북한은 우간다 등 우호적인 아프리카 국가에 군사교관을 대거 파견했다. 군사교관들은 사격기술과 땅굴파기는 물론 전술전략 세우기 등 군부대 운영 전반을 훈련하고 지도했다.

이 밖에도 북한은 에티오피아와 우간다 등 아프리카 국가에 군수공장과 농기계공장 등 공장을 지어줬다. 또 농업기술자를 파견하고 농사용 트랙터를 지원하는 등 새로운 농사기술을 전파했다. 일부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우간다와 탄자니아 일대에 북한이 운영하는 탄약공장이 있다. 공군 조정사를 훈련하는 교관을 파견하는 것으로도 파악된다.

대북소식통은 “김일성의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무상 지원이 1990년대 ‘고난의 행군’을 불러온 원인”이라고 전했다. 당시 김일성은 아프리카의 우방국가에 현금은 물론 관개농업기술, 농업지도와 종자 개량 등 농업기술 향상 지원과 군부대와 호위부대 창설 등 군사기술을 전수하면서 거의 무상 지원했다.

김일성이 특히 아프리카 국가들에 무상 지원으로 협력과 교류를 중시한 것에 대해 대북소식통은 “당시 소련과 동유럽 공산국가들의 붕괴 시기로 정통 동맹국가에 서운한 마음이 있던 가운데 아프리카와 중동 국가들과 신생 동맹국을 맺으려 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일성이 사회주의 공산주의 확산을 목적으로 한 것”도 사실이다. 

   
▲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5일부터 31일까지 에티오피아·우간다·케냐 등 아프리카 3개 국가를 순방하면서 이들 국가들과 경제협력을 약속하고 대북 압박에 동참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사진은 5월7일 개최된 7차 북한 당대회 모습./자료사진=연합뉴스


지금 북한과 아프리카 우방국과의 관계는 어느 정도일까. 1990년대 이후 우간다·에티오피아·앙골라 등 아프리카 교류국가들은 북한의 외화벌이 국가로 전락했다.

최근 북한은 아프리카 우방국가에서 건설사업에 치중하고 있다. 대통령궁이나 의사당 건설, 기념탑과 동상까지 건설해주고 외화를 벌고 있다. 또 이들 국가에 북한의 의료단이 파견된다. 북한에서 아프리카 국가에 파견되는 기술자와 근로자들은 김일성 때처럼 무상 지원이 아니라 아프리카 국가로부터 월급을 받는다.

가령 의료단의 경우 아프리카 국가에서 월급 500~900달러 받으면 200달러 정도는 개인이 갖고 나머지는 당국에 상납한다. 중국·말레이시아·싱가폴 국가에 비해 아프리카 국가에 북한식당은 없다. 
 
소총 등 다른 나라에 비해 특별히 저렴한 북한 무기도 아프리가 국가에 많이 들어갔다. 2000년대 초반까지 아프리카에 2~3억 달러 무기 수출이 이뤄졌다는 통계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270호 결의 때문에 북한의 무기 수출이 제한되고 있다. 

게다가 이번 박 대통령이 아프리카 3개 국가에서 무려 경제 분야 76건 등 MOU 82건을 체결했다. 에티오피아에서 섬유단지 조성 합의, 우간다의 정유공장사업에 우리 기업 참여, 케냐에 지역발전소와 산업단지 조성 등 경제협력을 합의했다.
 
이번에 북한과 협력관계에 있던 아프리카 국가들이 우리나라와 관계 개선을 한 배경에는 가령 우간다처럼 ‘제2차 국가개발계획’ 및 ‘비전 2040’을 통해 경제발전을 도모하면서 북한과의 군사협력보다 우리와 실질협력을 하는 것이 실익이 크다는 전략적 판단을 내린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 국가들은 경제 도약을 위한 정책 개발에 치중하고 있는 반면 전통 우방국가인 북한의 현실과 괴리가 있는 것이다. 지금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최대 투자국가는 중국으로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한국에 아프리카 국가들이 주목하는 것이 사실이다.  

지난 유엔 안보리 2270호 결의 발의 때 안보리 의장국이 앙골라였고, 앙골라가 친북 성향의 국가였지만 당시 우리나라의  손을 들어준 사실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강화되고 있던 시점에서 박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과 이에 따른 전략적 외교 행보가 시의적절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이달 5일까지 이어진 박 대통령을 프랑스 국빈방문까지 수행한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4일 북한의 ‘형제국’인 쿠바를 방문한 것과 함께 북한을 고립시키는 외교가 시작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장관은 카리브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쿠바를 방문했지만 미수교 국가인 쿠다에 역대 최고위급의 방문이 이뤄진 만큼 윤 장관과 쿠바의 고위층 인사와의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도 크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