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신용 등급(5~6등급)의 약 25%가 저신용 등급(7~10등급)으로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취업난과 잦은 이직으로 직장이 없는 20대 무직자가 채무 상환이 늦어저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경우가 잦았다.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저신용 가계차주 현황'에 따르면 2008년 6월말 당시 중신용(5~6등급) 채무자의 평균 25.2%, 고신용(1~4등급) 채무자의 평균 7.2%는 2013년 6월말 현재 저신용(7~10등급)으로 떨어졌다.

금융위기 이후 저신용 등급으로 떨어진 채무자의 평균 총부채상환비율(DTI, 원리금상환액/연소득)을 보면 하락 전 14.2%에서 하락 후 84.8%로 약 6배나 악화됐다. 위기 이전부터 저신용 상태에 있던 채무자의 DTI도 같은 기간동안 44.9%에서 71.4%로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고용형태별로는 무직 및 자영업에서 저신용 하락율이 높았다. 20대 중·고신용 채무자 중 27.9%가 금융위기 이후 저신용자가 됐다. ▲30대 16.2% ▲40대 14.0% ▲50대 11.9% ▲60대 9.6%에 비해 높은 수치다.

무직(17.2%) 및 자영업자(11.6%)의 저신용 하락비율은 임금근로자(9.9%)를 크게 웃돌았다. 특히 임금근로자에서 자영업(18.0%) 및 무직(15.4%)으로 전환될 경우 하락률은 큰 폭(각각 8.1%포인트, 5.5%포인트)으로 뛰었다.

저신용 하락자 중 20대는 무직 비중(49.3%), 60대 이상은 자영업 비중(37.0%)이 여타 연령층에 비해 높다. 향후 경기회복이 지연되거나 청년실업문제 개선 속도가 더딜 경우 이들 계층의 신용회복이 더욱 어려워 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에서는 고용이 불확실한 20대에 대한 대출을 꺼리기 때문에 이들이 고금리 비은행 금융기관으로 몰리고 채무가 늘어나 상환이 늦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이장연 한국은행 거시건전성분석국 과장은 "취업 연령이 늦춰지는데다가 고용의 안정성도 떨어지고 있다"며 "20대는 소득이 안정적인 사람에 비해 대출을 받기 힘들기 때문에 저신용 하락율이 높게 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장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