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 김태우 기자
[미디어펜=김태우 기자]‘’현대차 노조가 파업찬반투표에서 70%이상의 찬성으로 파업에 들어간다. 하지만 이는 명분을 위한 준비였을 뿐 이미 파업을 위해 짜여진 각본대로 움직이고 있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이번 현대차파업과 함께 현대중공업과 기아차까지 22일 금속노조의 총파업에 가세하며 23년 만에 현대연합의 총파업이 예고 됐다.

더욱이 이번에 현대차 노조가 사측에 요구한 사항들은 정부차원에서 청년실업문제해결과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도입하려는 인금피크제에 반하는 상황이다.

현대차 노조는 5월17일 시작해 13차례 열린 올해 임협에서 금속노조가 정한 기본급 7.2%인 임금 15만205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전년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일반·연구직 조합원(8000여 명)의 승진 거부권, 해고자 복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통상임금 확대와 조합원 고용안정대책위원회 구성, 주간연속 2교대제에 따른 임금 보전 등을 요구안에 담았다.

반면 현대차는 정부의 정책에 동참하기 위한 임금피크제(현재 만 59세 동결, 만 60세 10% 임금 삭감) 확대, 위법·불합리한 단체협약 조항 개정, 위기대응 공동 TF 구성 등을 노조에 요구했지만 노사간 의견 차이를 줄이지 못하고 협상결렬선언하고 파업에 이르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대차 노조가 애초 협상보다는 파업을 염두에 두고 명분 쌓기에 주력해 왔다는 업계의 시선은 피하기 힘들어보인다. 더욱이 이번 협상결렬선언시기와 이후의 과정이 이미 완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움직였다는 게 업계 시선이다.

현대차 관계자도 "노조의 협상 결렬 선언은 금속노조 파업에 동참하기 위한 일정 짜맞추기다"며 "노조는 협상결렬 선언 전에 해고자 복직과 고소 고발 철회, 승진거부권 부여 등 협상 대상이 되지 않는 요구에 대해 먼저 정리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즉 현대차 노조의 파업은 이제 노동자 권리를 위한 투쟁이 아닌 귀족노조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투정으로 전락했다는 시선을 피하긴 힘들어 보인다.

   
▲ 현대차 노조가 파업찬반투표에서 70%이상의 찬성으로 파업에 들어간다./연합뉴스


문제는 이런 현대차 노조의 이기주이로 애꿎은 지역사회와 하청업체들만 피눈물을 흘리게 됐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1987년 노조 설립 이래 29년 동안 1994년, 2009년, 2010년, 2011년 4년을 제외하고 25년을 파업했다. 1987년부터 2015년까지 노조의 전체 파업 일수는 410여 일이다.

자동차 생산차질 대수만 125만여 대, 생산차질액은 14조2000여 억원으로 현대차는 집계했다.

현대차 노조의 5년 연속 파업에 세계 1위 조선사 현대중공업 노조가 가세하면 가득이나 침체한 지역경제는 마비 상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상공계는 조선 위기로 구조조정이 한창이고 자동차 마저 판매가 감소세인 가운데 두 노조가 동시에 파업하겠다고 하자 한숨을 내쉰다. 시민들도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올해 수출입이 동반 감소하는 등 경기가 어려운 때에 주력 대기업 노조의 잇단 파업은 국가와 지역경제를 더 위축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울산세관이 발표한 5월 울산 수출입 동향을 보면 수출은 49억8000만 달러로 지난해 5월보다 1.8% 감소했다. 전달인 4월보다도 17.2% 줄었다. 수입액은 35억400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35.8% 줄었다.

수출은 자동차가 중동·중남미 등 신흥국 수요 감소로 작년보다 15.2% 감소한 12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어려운 시기에 노조가 파업을 선택한 것은 매우 유감스런 일이다"며 "파업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노사 모두에게 전가될 수 밖에 없으며 수많은 협력사가 함께 피해자가 된다는 사실을 노조는 깊이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