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방학중에 학생 수백명이 엿새째 대학 본관을 점거하고 농성을 하는 이화여대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학생들의 기득권 지키기가 지나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학벌주의에 사로잡혀 범법행위까지 서슴치 않는다는 것이다.

이번 농성은 지난달 28일 열린 대학평의원회 회의에서 교육부 지원사업인 미래라이프대학 설립 계획을 폐기하라는 학생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시작됐다.

미래라이프대학 사업은 교육부가 올해 처음 시작한 사업으로, 평생교육 단과대학 설립을 위해 대학에 재정지원을 하는 것이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취업을 했다가 뒤늦게 대학에 진학하는 사람이나 성인이 된 뒤 대학에 다니려는 사람들을 위한 단과대학으로, 공모를 통해 5개 권역에서 이화여대 등 10개 대학이 선정됐다.

이화여대가 이 사업 대상학교로 선정됐지만 학생들은 이에 반대하며 행동에 나선 것이다. 농성 학생들은 이 회의에 참석한 평의원 교수와 교직원 등 5명을 본관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막았고, 이들은 46시간 만에야 경찰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이화여대는 올해 3월까지만 해도 인문역량강화(CORE) 사업, 역대 최대 재정지원사업인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IME) 사업에 이어 이번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까지 따내 다른 대학들의 부러움을 샀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벌주의'가 민낯을 드러내며 이번 사태를 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명문대 학생으로서 미래라이프대학으로 입학할 고졸 직장인 출신들을 자신들과 '동급'으로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태 초기 이화여대 동문만 가입이 가능한 인터넷 게시판 '비밀의 화원'에는 이 같은 취지의 글이여러 건 올라왔다.

"이화의 질과 격을 낮추는 꼴", "30대 이상의 무직 여성까지 대상으로 해 누구나 이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학벌 세탁과 이화여대 출신 사칭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등 학벌주의에 호소하는 문구가 눈에 띄었다.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은 평생교육을 원하는 성인들의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학령기 학생 중심으로 된 기존 대학교육 체제로는 이를 수용할 수 없는 만큼 그 대안으로 성인과 직장인을 전담으로 교육하는 기관을 따로 만드는 시도이다.

시대변화에 맞게 대학도 기존 체제에 안주할게 아니라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사회와 산업계의 다양한 수요를 소화할 수 있는 체제로의 변화가 시급한 상황에서 학생들도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 등에 대한 전향적인 자세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점거 농성 과정에서 교수 등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막은 행위나 학교 설립자 동상을 훼손하는 등의 반지성적 행태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우며,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과거 속칭 스카이(SKY) 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던 이화여대 신입생의 입학 성적이 낮아지는 등 '국내 여자대학 1위'라는 브랜드 가치가 하락하는 것에 위기감을 느끼는 재학생과 졸업생의 반발 심리가 이번 사태를 통해 표출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화여대는 현재 건국대-동국대-홍익대 정도 수준이라는 비아냥을 받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