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정우 기자]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여성가족부 장관(사진)이 게임산업정책을 관장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수장에 내정되면서 관련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여성가족부 장관 재재임 시 게임업계 매출을 옥죄는  ‘셧다운제’을 옹호한 이력 탓이다.

◆ 업계, 우려 속 기대감 피력…“문화융성 지켜주길”

특히 조윤선 장관 내정자가 박근혜대통령의 '복심'으로 현 정부의 2인자 여성으로 급부상하자, 게임 업계의 당혹스런 표정이 역력한 상황이다.

조 장관 내정자는 여성가족부 수장을 맡으면서 직전 '셧다운제' 반대에서 찬성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게임산업 진흥보다 여성계의 시선을 의식한 결정이었다.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 셈이다. 지금의 상황은 어떠한가. 경제성장동력이 고갈된 현실에서 문화산업 융성전략과 고부가가치 창달이 무엇보다 긴요한 시점이다.

업계 일각은 "게임산업 주무부처에 조 장관 내정 소식이 알려지면서 업계 일각에서 산업 위축을 우려 중인 것은 사실이다"며"청소년 게임중독 방지를 위한 셧다운제의 취지도 살리면서 게임산업을 활성화하는 지혜를 조 장관 내정자가 내놓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융성을 강조하는 현정부에 대통력의 측근 중에 측근이 장관으로 내정된 데 주목해야 한다"며" 민관이 머리를 맞댈 경우 게임산업이 내수 의존형에서 탈피, 글로벌 경쟁력 1위의 영화를 되찾기 위한 지혜가 나올 수 있을것"이라고 강조했다.

게임 업계 한 관계자는 “여성가족부 장관 시절 조윤선 내정자가 관련 정책 강화에 신중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창조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게임이 부각되고 있는 최근 기조를 감안하면 우려보다 기대를 해도 좋을 듯 하다”고 말했다.

실제 조윤선 내정자는 2011년 국회 본회의 표결에서 청소년의 게임 시간을 제한하는 셧다운제 법안에 반대하기도 했다. 이후 2013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 청문회에서는 찬성 입장으로 돌아서기도 했지만 실제 장관 재임기간 동안은 문화 산업 융성과의 접점을 찾기 위해 신중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조윤선 내정자의 문화에 대한 깊은 관심은 게임산업 발전 기대감의 원천의 하나다.

업계의 다른 한 관계자는 “최근 ‘포케몬고’ 등이 전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으는 등 게임과 문화 콘텐츠 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문화 산업에 관심이 큰 것으로 알려진 조 내정자가 힘을 실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조윤선 내정자가 개각발표 이후 기자회견에서 ‘문화융성’을 강조했다”며 “관련 산업이 위축되지 않고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조윤선 내정자는 개각 발표 이후 기자회견과 개인 SNS를 통해  “창조경제의 국정 기조하에 우리나라가 문화강국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하는 시기에 주무 부처의 장관 후보자로 지명돼 막중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낀다”며 “문화융성으로 우리 국민이 행복하고 윤택하게, 그리고 우리나라를 강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길에 성심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 조 내정자가 걸어온 ‘문화 행보’는 게임업계의 우려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는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당시 대한제국 주미공사관 건물 매입을 성사시켰고 여성가족부 장관 재임 중에는 프랑스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에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기획전’을 열었다. 또 2011년 발간한 저서에서는 “문화를 통한 정치야말로 진정 21세기 정치”라고 기술해 문화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 당면 과제는 ‘시간’…“정치 행보에 그치지 않아야”

2015년 기준 연간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약 10조원에 달한다. 전체 문화 콘텐츠에서 게임의 해외 수출 비중도 60%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꼽힌다.

반면 일관된 정책 지원 부재 속에 내수 시장에서의 과당경쟁,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위협 속에 게임을 ‘마약’ 취급하는 일부의 부정적 인식 등이 경쟁력 저해 요인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조윤선 내정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맡게 되면 당면할 과제는 ‘시간’이다. 관련 산업 주무부처를 지휘하는 입장에서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지만 후반기에 들어선 현 정부 아래서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 애매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하기도, 규제를 하기도 애매한 기간이다”며 “기존의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막아주느냐, 그렇지 못하느냐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성장점이 멈춘 한국 경제와 같은 신세인 우리의 게임산업. 게임산업의 글로벌화는 내수규제 철폐부터라는 업계와 글로벌화를 위한 '우물안의 개구리'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정부.  

업계의 당면 현안을 풀어주고 민심도 헤아리는 조 내정자의 게임산업의 정무감각의 발현. 이 역시 박근혜정부의 임기 후반기 국정안정 기조의 핵심이기에 그의 행보가  주목된다.
[미디어펜=김정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