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진해운 법정관리행 구체적인 대책 논의
한진해운의 법정관리가 사실상 확정되면서 당장 해양물류 대란이 우려된다. 국내 주요 산업계는 수출물량의 해상운송 차질 등 ‘한진해운발 후폭풍’에 예의주시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한진해운의 법정관리가 사실상 확정되면서 당장 해양물류 대란이 우려된다. 국내 주요 산업계는 수출물량의 해상운송 차질 등 ‘한진해운발 후폭풍’에 예의주시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한진해운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진해운은 이날 오전 이사회를 열어 법정관리 신청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 법원은 회생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한진해운은 바로 청산절차를 밟게 된다.

한진해운이 공중분해 될 경우, 수출입 물동량을 둘러싸고 운송대란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국내 1위, 세계 7위의 대형 해운사인 한진해운은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 150여척의 선박으로 전 세계 70여개 항로에서 운항 중에 있다.

IT전자업계에서는 일단 사태를 지켜보겠다는 반응이다. 현재 삼성전자의 경우 해운 물동량 가운데 약 40%, LG전자는 20%를 한진해운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은 항공편으로 수출하기 때문에 큰 영향은 없지만, 생활가전 제품이나 반조립제품(CKD) 등 부피가 커 배에 실을 수밖에 없는 품목도 있는 만큼 여러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국내 철강사들은 각자 전략적으로 벌크 선사들과 물류를 하고 있어 당장 업계에 미칠 파장을 예측하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업계는 중장기적으로 철광석 수입과 철강제품 수출에 여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영무 한국선주협회는 상근부회장은 “전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120만개의 컨테이너가 계획대로 흘러가지 못하고 정지하면 물류대란이 벌어지고 140억달러에 달하는 화물 지연에 대한 클레임이 속출할 것”이라며 국내 산업이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선주협회에 따르면,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총 17조원의 피해가 발생하며, 부산항만과 선박관리 등의 관련 종사자 2300여명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무역업계는 7조4500억원의 피해가 불가피하다.

한진해운의 법정관리행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정부는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물류 혼란을 막고자 최근 ‘비상운송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물류대책인 비상운송계획에 따라,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해수부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한국선주협회를 비롯해 국내 해운업체들이 참여하는 ‘비상대응팀’을 즉시 발족한다.

대응팀의 역할은 단기적으로 빚어질 수 있는 물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정부는 국내 회주들이 다른 해운사와 계약사 운송하기까지 최소 2개월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대응팀은 긴급 상황별로 짜인 대응책에 따라 한진해운 선박을 이용하지 못해 수출에 차질을 빚는 국내 업체들이 다른 국내외 선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 환적물량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산항을 이용하는 글로벌 해운사에 환적비용을 할인하는 등의 인센티브도 지원할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가 현실화될 경우 물류대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 만큼, 정부가 나서서 지원할 수 있는 것은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미디어펜=백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