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 기자]현대차 강성노조가 협상에 집중하며 정상조업에 들어갔지만 공장은 여전히 멈춰 섰다. 

태풍 차바의 피해로 인한 복구작업을 위해서다. 앞선 노조의 파업으로 이미 많은 피해를 입은 상황에서 추가로 피해가 발생할 상황이다. 더욱이 출고를 앞둔 차량들까지 피해를 입으며 손실은 더 커질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노조는 고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 태풍 차바의 피해로 인해 멈춰선 2공장 생산라인./민주노총 울산본부


6일 현대자동차 등에 따르면 이번 18호 태풍 차바의 피해로 싼타페와 아반떼 등을 생산하는 울산공장 2공장이 침수 피해복구 작업으로 이날도 가동되지 못하고 있다. 공장 내부에 토사가 섞인 물이 들어와 이를 빼내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에는 엑센트와 벨로스터 등을 생산하는 1공장도 조업이 일시 중단됐으나 오후부터 생산을 재개했다. 또 울산공장 출고센터에 세워둔 차량 수백 대 가운데 수십여 대가 물에 잠겼다.

앞서 수차례의 파업으로 막대한 영업 손실을 입은 뒤의 상황에서 추가로 피해가 발생하며 현대차를 비롯한 협력업체와 하청업체들의 피해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도 현대차 노조가 강경한 자세로 임단협에 비협조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노동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금속노조 산하 현대차그룹 지부지회 대표들은 지난 5일 서울 정동 회의실에서 대표자회의를 열고 고용노동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검토에 맞선 총파업 계획을 결의했다.

이기권 고용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조속한 시일 내에 현대차 노사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파업이 지속한다면 긴급조정권 발동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긴급조정권은 노조 파업이 국민 일상생활을 위태롭게 하거나 국민경제를 해칠 우려가 있을 때 발동한다. 긴급조정권이 발동되면 해당 노조는 30일간 파업이 금지되고 중앙노동위원회가 조정을 개시한다.

금속노조 현대차그룹 지부지회 대표들은 이날 회의에서 "정부가 현대차 노조 파업에 긴급조정권을 발동한다면 현대차그룹 계열사 소속 모든 노조는 전면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결의했다.

금속노조 현대차그룹 지부지회에는 현대차, 기아차, 현대로템, 현대제철, 현대케피코 등 현대차그룹의 주요 계열사 노조가 소속됐다. 4만4000명의 현대차 노조원을 비롯해 총 노조원 수는 9만8000명에 달한다.

이들 계열사는 내년도 임금 인상안 등을 놓고 임금·단체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노동위원회의 '쟁의조정 절차'를 모두 마쳤기 때문에 파업에 들어가더라도 불법이 아니라는 것이 금속노조의 판단이다.

나아가 금속노조는 11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정부의 현대차 파업에 대한 긴급조정권 발동 시 금속노조 산하 240개 사업장, 15만4000명 노조원 전체가 총파업에 들어가는 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는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 검토에 맞서 맞불을 놓아 '강대강 투쟁' 국면으로 돌입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 앞서 현대차는 5월 17일부터 시작한 올해 임금협상 과정에서 노조의 특근 거부와 24차례 파업으로 인해 생산 차질 규모가 13만1000여 대에 2조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연합뉴스


금속노조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의 합법적인 파업을 '귀족노조 파업', '불법 파업' 등으로 규정하는 정부 행태를 더는 용납할 수 없다"며 "현대차그룹 계열사 노조원 10만명의 총파업으로 긴급조정권을 무력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런 노조의 단체행동을 바라보는 시선이 더 이상 곱지 않다는 게 문제가 되고 있다. 

앞서 현대차는 5월 17일부터 시작한 올해 임금협상 과정에서 노조의 특근 거부와 24차례 파업으로 인해 생산 차질 규모가 13만1000여 대에 2조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런 회사의 피해는 협력업체와 하청업체들로 이어지며 전반적으로 침체된 사회분위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현대차에 납품하는 1차 부품 협력업체는 348개로, 이들 업체 매출액의 70~80%가 현대차에 부품을 납품하면서 발생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이들 1차 협력업체들은 현대차와의 부품 거래를 통해 하루 900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그러나 지난 7월 노조의 파업으로 자동차 생산 차질이 발생하면서 협력업체들은 제대로 부품을 공급하지 못했다. 이에 따른 1차 협력업체 388개의 총 매출 손실액은 하루 평균 매출 등을 고려할 때 1조4000억 원에 이른다는 게 조합의 추정이다.

이밖에 2차의 협력업체는 5000여개와 더불어 3차 협력업체들과 하청업체들까지 포함하면 손실액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것으로 분석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현실화된 소비적벽에서 새로운 도약이 필요한 시점에서 서로를 배려하지 않는 노조의 강경한 자세는 회사를 넘어 사회 전방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이런 노조의 모습은 국내 평균 연봉과 하청업체 근로자들 보다 많은 연봉을 받는 귀족노조들의 보여줄 태도는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