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목표가 가격중심에서 포괄적시장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KDI24'동아시아 대도시 주택가격 변동성의 비교·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타이완, 홍콩, 싱가포르 등 동아시아 6개국 최대도시의 주택가격 변동성과 제도적 요인 등을 연계한 후 이를 토대로 부동산시장 안정화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그 결과 주택은 일반적으로 거래빈도가 낮고 거래비용은 높지만 건물속성 및 위치 등은 이질적이라 가격산정이 비효율적이고 부정확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가격은 시장 수요와 공급 펀더멘털 외에 시장참여자의 심리 및 제도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서울, 타이베이, 도쿄는 1980년대 중후반, 싱가포르와 홍콩은 1990년 중후반 큰 폭의 주택가격 사이클이 관찰됐다. 또한 중국은 2009년도 팽창통화정책이후 도시의 주택가격 상승폭이 커졌다.
 
보고서는 "동아사시아 6개국은 부동산세제 및 대출규제를 주요 정책수단으로 부동산시장을 관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공공 및 민간 분양 모두에서 가격 규제를 실시하는 유일한 나라로 서울의 규제가 토지 및 주택공급의 규제 정도를 나타내는 복합지수에서 가장 강력하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 부동산시장의 과도한 규제로 인해 공급과 수요 탄력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이에따라 보고서는 향후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목표를 가격안정에서 포괄적으로 전환하고 정책개입의 조건 및 시기를 명확히할 것을 주문했다.
 
주택가격, 신규공급,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을 기준으로 시스템 리스크의 가능성이 있는 주택시장의 변동성을 규정하라는 것이다.
 
선제적 시스템을 만들 경우 실제상황 발생시 시장개입여부나 방식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한 정부의 불필요한 규제와 시장개입의 과감한 철폐를 주장했다.
 
보고서는 앞으로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면 투기억제중심의 현행 부동산정책 기조를 탈피해야 한다며 특히 분양가상한제, 개발이익환수제 등 현재의 시장에서 부적합한 규제는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