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성환 경위 인천삼산경찰서 경비작전계
지난해 11월 민중총궐기 당시 물대포에 쓰러진 농민 백남기(69세)씨가 숨을 거두었고 그 이전 1996년 광주 조선대 시위 진압 도중 머리를 다쳐 식물인간 상태로 17년간 투병생활 끝에 2013년 김인원(1976년생)의경이 운명을 달리했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1993년(1461명)부터 2015년(157명)까지 불법폭력시위로 부상당한 경찰관이 총 2980명이라는 발표가 있었다.
 
경찰과 집회참여자에게 한번씩 큰 상처를 주고 회복 불가능한 일이 발생한 것이다. 후진국에서나 일어날 법한 이런 희생들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이 참으로 통탄할 일이다.

또한 일이 발생할 때마다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정치적으로 풀어내려는 일련의 과정들이 항상 습관처럼 반복된다. 사람의 생명이 희생된 현실에서도 재발 방지를 위한 진심어린 노력은 없어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도 공공부문의 연대파업 추투(秋鬪)가 지난달 22일부터 시작되었고 다음달 12일에는 20만 규모의 민중총궐기 집회가 예고되었다.

이제 더 이상 누구의 희생도 있어서는 않된다. 이를 위해 서로의 노력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기이다. 북한의 핵실험 등으로 우리나라의 세계 열강과 외교역량을 발휘하기 위해 국민적인 결집이 필요한 때에 안으로 내환의 위기를 자초해서는 않된다.

우선 경찰과 집회참가자 간 사전 소통 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을 강구하고, 기-승-전 과정에서 준법(遵法)을 최우선으로 지키려는 강한 의지가 전제되어야 한다.

경찰도 집회시위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고뇌와 인내를 보여 주어야 한다. 이런 과정이 상설화 된다면 희생이 따르는 소모전은 사라지고 평화적 준법집회시위문화가 정착 될 거라 확신한다.  /정성환 경위 인천삼산경찰서 경비작전계
[정성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