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수익성 개선을 위해 대출 심사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회수할 수 없는 채권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대손상각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6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은행의 대손상각비를 둘러싼 의미와 과제'라는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국내 은행의 경영실적이 악화된 주요 원인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손비용이 급증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손상각비는 채권 중 회수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은행의 영업이익과 대손상각비는 마이너스(-) 관계다. 대손상각비가 클수록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줄어든다.

국내 은행의 대손상각비는 2007년 3조9,000억원에서 2008년 9조8,000억원으로 증가한 뒤, 현재까지 10조원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1~9월에는 대손상각비가 8조원으로 전체 이자이익(27조원)의 29.6%에 달하며, 당기순이익(4조9,000억원)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었다.

대손상각비는 이자비용이나 판관비와는 달리 변동성이 높은데다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국내은행의 이자이익 대비 대손상각비는 12~34%로 변동폭이 크다. 이자이익 대비 판관비는 2005년 이후 50~60%에서 유지되고 있다.

또 이자이익 대비 대손상각비는 지난해 9월 현재 28%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12~13%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세계 주요국가와 비교할 때도 국내 은행의 대손상각비는 높은 수준이다.

2012년 국내 10대 은행의 평균 이자이익 대비 대손상각비 비중은 21.64%로, 일본(6.90%), 미국(17.07%), 캐나다(9.70%),영국(71.70%), 독일(23.80%), 프랑스(13.64%)와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유럽 재정위기로 대손상각비가 유난히 높은 영국과 독일을 제외한다면, 우리나라는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서 연구위원은 "은행의 수익성이 확보돼야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시장에도 자금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대손상각 부담을 우려해 대출에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면 실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미디어펜=장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