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불편, 납품업체 폐기물량 급증 등 부작용만 양산

   
▲ 박정렬 경제진화연구회 청년간사
대형마트가 강제휴무를 하게 되면 매장과 본사가 부담하게 되는 부분은 아마도 유통기한이 가장 클 것이다. 강제휴무일로 인해 발생한 매출 차질은 고객들이 토요일이나  월요일날에 쇼핑을 하므로 어느정도 극복이 되기는 한다.(물론 일요일 시간이 안나는 사람들에겐 불리하다)

요즘 딸기는 끝물이지만, 꾸준히 들어오고 있다. 딸기는 유통기한이 이틀이 고작이다. 토요일날 딸기가 입고 됐는데, 일요일이 강제휴무에 걸린다고 치면 당일에 다 팔아치워야 한다. 바겐세일을 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딸기 3000개 계약을 맺고 매장마다 100개씩 팔게하는 식이기에 마감시간이 다가오면서 딸기에 할인딱지를 붙이지 못하면 폐기해야 한다. 할인해서도 팔지  못하고 폐기처분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가?폐기율이 10%일 경우 매출 1억을 가정하면 그대로 1000만원 손해보게 된다.

유통기한이 불리한 제품이 또 뭐가 있을까?

수산, 그리고 농축산도 있다. 낙농(우유)같은 경우에는 '25일 8:35까지' 이렇게 표기 되어있으므로 사실상 당일이 되면 폐기처분해야 한다. 결국 할인을 하게 되면 2, 3일후를 염두해 두고 할인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렇게 이틀이 지났다면 할인율과 폐기율은 급격히 상승한다. 매장 한곳에서 나오는폐기량도 벅찬데 여러개 매장의 폐기물량과 할인율을 합산하면 심각한 손해가 발생하게 된다.

 강제휴무로 인해 점주가 하루정도 쉴 수 있고, 다른 날에 영업차질분을  메꿀수 있다는 생각은 표면적인 것에 불과하다. 대형마트가 강제휴무에 들어가면서  어떤 점포는 했다가 안했다가, 다른 점포는 수요일날 쉬는 식으로 혼선을 빚었다.

지난 19대 대선을 앞두고 경제민주화 논리에 따라 대형마트규제는 강화됐다.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마트에 대해 심야 12시부터 오전 8시까지 판매금지토록 했다. 이를 어기면 과징금을 물게 했다. 마감시간을 처음에는 10시로 할려고도 했지만, 대형마트의 반발로 이루어지지도 못했다. 요즘 정치권과 지자체등에서 대형마트의 영업시간제한을  더욱 강화하려고 있다. 

SSM이나 대형매장이나 가장 중요한 것은 폐기율을 낮추는 것이다. 할인율은 단계적으로 타임을 나눠서 30% ~ 50% ~ 70%씩 적용한다. 유통기한이 긴 상품은 두달전부터 30% 할인에 들어가고 유통기한 순환점검일을 따로 정해서 이를 꼼꼼히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강제휴무일로 인해 유통기한이 짧은 제품들의 경직적인 발주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20개의 딸기를 주문했다면, 그것이 하루내에 다 팔 분량보다 조금 더 잡았다 하더라도 내일 없애야 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폐기가 불가피해진다.

굳이 대기업의 탐욕이라고 비판하면서  SSM을 괴롭힐 필요는 없다. SSM을 경영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졍년퇴임하고 빚내서 장사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이다. 적정한 수준으로 매출을 끌어 올려야 하는 부담감도 심각하다. 마진율이 작으므로 직원월급, 제품폐기, 손상 등을 감안하면 하루매출이 적정수준을 넘어줘야 한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매장이 많다.

요즘처럼  중국발 초미세먼지유입으로 인한 판매환경 악화등에도 영향을 받는다. 매출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으면 종업원을 고용하기 힘들다. 점주들은 거의 풀타임을 일하며 재고조사도 새벽에 밤새워서 일하기도 한다. 심지어 장사가 안돼도 관리를 깔끔하게 하는 점주들이 많다. 더 나은 점포를 본사에 받게 될거라는 희망을 갖고 힘들어도 참고 일하시는 점장들도 있다.

우리는 이들 점주들의 매출을 끌어 올리기 위한 노력들에 대해서 도와줘야 하지 않을까? 어차피 소비자주권시대에 소비자는 필요한 것만 저렴하게 사게 마련이다. 점장들이 봉사함으로써 단순히 소비자와 판매자를 뛰어넘어 서로 더 많은 것을 누릴 수 있는 인센티브가 있다.  이들 점포들이 폐점되었다고 생각해보자. 소비자들만 불편해질 뿐이다. 골목상권을 잠식한다고 비판했는데, 해당매장이 문을 닫으면 마치 주객이 전도된듯한 느낌이 들 것이다. 규제를 하면 결국 서민 등만 괴롭히는 것 밖에 안된다. /박정렬 경제진화연구회 청년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