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피해자 10명 중 7명은 사고 후 직장을 관두거나 직업을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

2일 한국교통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교통사고 피해자의 경제적·사회적 파급영향 조사결과'에 따르면 교통사고 후유 장애인의 71.8%(135명)가 사고 후 소득이 절반 이상 급감했다.

이번 조사는 교통사고 후유 장애인 188명과 유자녀 69명, 보호자 5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사고 후 소득이 급감한 이유는 사고 전에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거나 직업을 잃었기 때문이다. 전체의 70.7%(133명)가 사고로 인한 신체적 제약으로 직장을 관뒀거나 사회활동 참가 횟수를 줄였다고 답했다.

또 사고 후 보험회사 등으로부터 수령한 보상·합의금은 3,711만원 수준이었지만, 평균 24개월 만에 모두 소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사고 유자녀 5명 중 3명(61.5%, 32명)은 사고로 부모가 사망한 후 주거 형태가 열악해졌다고 응답했고, 학업성적이 저하됐다고 답한 비율은 29.0%(20명)이었다. 또 친구 교제가 줄어들었다는 의견도 15.9%(11명)나 됐다.

설재훈 연구위원은 "교통사고가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교육수준 등 개인적 조건이나 교통사고 이전의 사회·경제적 지위, 교통사고로 입은 상해의 정도 등에 따라 편차가 크다"며 "대부분 사고로 경제적 여건이 악화돼 가정파탄에 이르거나 사회적 활동에 제약받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교통사고 장애인 보상금 인상, 사고보상금 연금식 지급제도 도입, 교통사고 유자녀 지원기금 설치, 사고 피해자 심리상담센터 설치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