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장관 교체 과정에서 이전과 달리 후임 인선을 신속히 단행, 인사스타일의 변화를 보여줘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인사요인이 생긴 장관 2명의 후임을 '예상'과 달리 신속하게 마무리 지으면서 최근 1년 내내 인사문제로 씨름을 했던 지난해와는 사뭇 달라진 모습이다.
 
   
▲ 강병규 차관 내정자/뉴시스
 
박 대통령은 7일 신임 안전행정부 장관에 강병규(60) 전 행정안전부 제2차관을 내정했다. 오는 6·4 지방선거에 출마키로 한 유정복 전 장관이 지난 5일 사퇴함에 따라 이뤄진 후임 인선으로, 불과 이틀 만에 신임 장관이 내정된 것이다.
 
지난달에는 해임한 윤진숙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후임으로 이주영 현 장관을 내정하는 절차를 엿새만에 마무리했다.
 
물론 이들 장관의 인사요인이 갑작스럽게 생겼던 것은 아닌 만큼 어느 정도 미리 대비를 했을 수 있지만 과거와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한 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인사 논란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늑장인사'라는 꼬리표도 함께 달아야 했다.
 
지난해 930일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사표 수리 이후 문형표 장관이 내정되기까지는 한 달 가까이 걸렸다. 같은 날 내정된 황찬현 감사원장의 경우는 앞서 8월 양건 전 원장이 사임한 이후 두 달 만에 내정됐다.
 
이처럼 후임 인사가 빨라진 것은 조직을 서둘러 안정시키고 국정업무 추진에 차질이 생겨서는 안 된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취임 2년차를 맞아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하는 등 국정성과를 내는 데 주력할 것임을 선언한 박 대통령으로서는 인사지연으로 내각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줘서는 안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것이다.
 
더욱이 안행부를 이끌어온 유 전 장관의 사퇴와 관련, 선거관리 업무를 담당해야 할 주무장관이 오히려 선거에 나섰다는 비판과 함께 선거중립 의무를 위반했다는 주장까지 야권에서 제기하고 있는 만큼 해당부처 장관 인선을 서둘러 마무리할 필요성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최근 야권의 큰 반발 없이 속전속결로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는 이주영 장관의 모습 등을 보면서 박 대통령이 인선작업에 어느 정도 자신감이 붙었다는 해석도 있다.
 
박 대통령이 집권 2년차를 맞아 정권 출범 초 겪었던 인사문제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와 함께 국정 활력을 적극 살려나가겠다는 의지도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