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상승 본격화된 가운데 가계부채 문제 심화 "진퇴양난"
[미디어펜=이원우 기자]한국은행이 6개월째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한 배경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 가계부채 급증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한은 기준금리를 둘러싼 '진퇴양난' 상황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1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오전 기준금리를 연 1.25%로 유지했다. 지난 6월 전격 인하 이후 6개월째다. 이번 달에도 금통위 7인이 만장일치로 '동결' 의견을 냈다. 

   
▲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금의 상황을 보면 불확실성 높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대단히 높다"면서 "시장안정화 노력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는 의지를 피력했다. /미디어펜


금통위 종료 직후 기자간담회를 주재한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는 향후 정책운용에 대해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 접근하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면서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과 그 영향,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이,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금통위 직전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발표가 나면서 향후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운용에도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새벽(한국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년 만에 정책금리를 연 0.50%∼0.75%로 0.25%P 인상했다.

특히 이날 연준에서는 시장 다수 관계자들의 예측보다 훨씬 매파적인 의견이 나왔다. 당초 2회 수준으로 예측되던 내년 금리상승 횟수 또한 3회로 암시됐다.

김윤경 국제금융센터 연구위원은 "미 연준위원들이 시장 예상을 웃도는 내년 3회 금리인상을 제시함에 따라 단기적 시장영향(re-pricing)은 불가피하다"면서 "트럼프노믹스의 효과가 불확실한 만큼 통화정책도 경제와 금융여건에 따라 가변적임에 유의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예측을 뛰어넘는 강도의 미 기준금리 '상승압력'과 함께 가계부채 문제 역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양도분 포함)은 무려 8조8000억원 증가했다. 이와 같은 증가폭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8년 이후 매년 11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 수준이다. 

가계부채 급증세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더 내리기는 힘들지만, 그렇다고 국내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올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한은의 이번 금리동결에는 이와 같은 '진퇴양난'의 상황도 한몫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주열 총재는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지금의 상황을 보면 불확실성 높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대단히 높다"면서 "시장안정화 노력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는 의지를 피력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