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4일 통일준비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기로 한 것은 자신이 직접 통일 준비의 최전선에 나서 '통일대박론'을 구체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대통령이 위원장을 겸임함에 따라 위원회의 위상도 높아지고 통일 관련 어젠다를 주도할 수 있는 힘이 생겼기 때문이다.

문화융성위원회나 국민대통합위원회, 청년위원회 등의 조직과 달리 대통령 직속 위원회 가운데 대통령이 위원장을 겸임하는 것은 통일준비위가 유일하다.

   
▲ 朴대통령, ‘통일대박론’ 구체화/사진출처=뉴시스

청와대가 밝힌 통일준비위의 목적과 기능에 따르면 위원회는 통일 준비 관련 연구와 통일 담론의 방향성 제시, 국민적 공감대 확산 등에 주력할 전망이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통일준비위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통일 준비 논의를 앞당기고 통일 시대에 대비한 능동적·효과적 대응체제를 갖추겠다는 판단인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장관에 청와대의 외교·안보 라인에만 그치는 게 아니라 경제분야 총괄부처인 기획재정부 장관에 각계각층의 민간위원까지 참여하는 등 위원회 구성 폭도 넓다. 사무국 기능을 갖는 기획운영단도 꾸려진다.

이는 통일대박론을 단순히 구호적 의미가 아니라 실제 '경제대박'으로 이어질 어젠다로 설정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이란 분석이다.

통일이 되면 북한 지역의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을 중심으로 한 대대적인 '투자 붐'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북한의 인적·천연 자원과 우리의 자본·기술이 결합돼 한반도 차원의 대도약이 가능하다는 게 박 대통령의 인식이다.

박 대통령이 이달 25~28일로 예정된 독일 국빈방문에서 역대 대통령 가운데 처음으로 구 동독 지역의 대표적 경제중심 도시인 드레스덴을 방문하고 독일 통일 관련 인사를 접견하는 등 통일 경험 공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다만 평화통일정책의 대통령 자문기구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대북정책의 주무부처인 통일부 등 기존 조직과 기능 및 역할을 제대로 차별화시키지 못할 경우 유명무실한 위원회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또 통일 논의의 성격상 정치적 공방의 여지가 상존하는 만큼 위원장인 대통령이 임명할 민간위원이 한쪽에만 치우친다면 정쟁의 대상으로 전락할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국민들의 의견 반영도 불가능할 것이란 지적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은 전날 논평을 통해 "통일준비위 구성부터 국민과 소통하지 않은 채 대통령과 마음이 맞는 각계각층으로 구성된다면 그것은 통일을 준비하는 위원회가 아니라 국민분열을 가중하는 위원회가 되고 말 것"이라며 위원회 구성을 위한 여·야·정 실무준비팀 설치를 요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