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시경 기자] 지하철 4·6호선 삼각지역 인근에 들어설 ‘역세권 2030 청년주택’ 1호의 최초 임대료가 1인 가구 기준 월 12만~38만원에 책정됐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청년주택 운영자문위원회를 통해 ‘역세권 2030 청년주택’ 1호의 임대료를 최종 확정했다고 19일 밝혔다.

   
▲ 서울시는 고가 임대료 우려를 막기 위해 전수조사 및 동향조사 등을 바탕으로 역세권 청년주택의 월 임대료를 시세보다 저렴하게 책정했다./자료사진=서울시


대상 주택은 올 4월 입주자 모집을 시작하는 민간임대주택 763가구로, 용산구 한강로2가에 들어선다.

1인당 임대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각각 ▲전용 49㎡(3인 공유) 2840만원/29만원~7116만원/12만원 ▲전용 39㎡(2인 공유) 3750만원/35만원~8814만원/15만원 ▲전용 19㎡(1인 단독) 3950만원/38만원~9485만원/16만원 등이다.

민간사업자가 공급하는 민간임대는 고가 임대료 우려가 있으므로 서울시는 먼저 25개 자치구의 최근 2년간 전월세 신고자료 총 105만 건을 전수조사하고 국토부의 주거실태조사 및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등을 통해 월 임대료 범위를 확인했다.

아울러 정책적 수단으로 임대보증금 비율을 30% 이상으로 의무화해 월 임대료 비율을 억제하고, ‘공유주택’ 개념을 도입해 1인당 월 임대료를 낮췄다.

서울시는 고가 임대료를 차단하기 위해 ‘5대 지원대책’도 마련했다.

대책에는 ▲임대보증금 비율 최소 30% 이상 의무화 ▲공유주택 개념 적극 도입 ▲강남권, 도심권 등 고가 임대료 지역 소형주택 공급 ▲저소득 청년층 임대보증금 최대 4천5백만 원 무이자 지원 ▲청년 커뮤니티 시설 확보 등이 포함돼 있다.

한편 서울시는 올해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총 1만5000호 사업승인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실제 입주는 2~3년 내 이뤄질 계획이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역세권 청년주택은 주거난에 시달리는 청년들에게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고 안정된 주거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낙후된 역세권 개발을 촉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사업”이라며 “경제가 어려울수록 청년에게 투자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인 만큼 서울시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집중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