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경기도지사 예비후보가 20'단계적 무상버스 도입안'을 내놓으며 다시 한 번 무상버스 공약 논란에 불을 지폈다.

특히 김상곤 예비후보는 가칭 '경기이동자유공사' 설립안 등 이전보다 한층 구체화된 방안을 제시하며 타 경쟁 후보들의 비난과 우려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이날 오후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5년부터 어르신과 장애인, ·중학생을 상대로 무상버스를 시작한 후 단계적으로 이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김상곤 후보/뉴시스 자료사진
 
김 예비후보가 내놓은 안에 따르면 고등학생 무상버스는 2016년부터, 주부·대학생·구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무상버스는 2017년부터 승객이 붐비지 않는 오전 11~오후 2시에 각각 도입된다.
 
투입 예산은 2015년 어르신 무상버스의 경우 520억원, 장애인 무상버스 6억원, 초중학생 무상버스 431억원, 2016년 고등학생 무상버스는 768억원이 각각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2017년 비혼잡시간 무상버스는 961억원, 시간대를 1시간 더 확대할 경우 1358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김 예비후보는 추산했다.
 
또 현재 서울시와 6대 광역시가 시행 중인 (유사)준공영제를 넘어 완전한 버스 공영제도 단계적으로 실현할 뜻을 밝혔다.
 
이를 위해 김 예비후보는 가칭 경기이동자유공사를 설립, 신설노선이나 업체가 포기한 노선, 적자 누적 노선, 벽지노선 등을 중심으로 버스 공영제를 시행한 후 민영노선과 선의의 경쟁을 통해 점차 공영노선을 늘려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버스 공영제와 무상버스를 함께 구현하는 방안이 가장 이상적이고 바람직하다""향후 서울 등 인접 광역지자체와도 협력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장 중요한 예산 확보 방안에 대해 김 예비후보는 원칙적으로 세금을 더 걷지 않는 대신 도내 각 시·군과의 협의가 가장 중요하다고 설파했다.
 
각각의 무상버스 방안을 모두 더할 경우 비용이 2015년 첫해 956억원을 시작으로, 20161725억원, 20172686억원이 예상되는 가운데 합의를 통해 기초지자체의 분담을 이뤄낸다는 게 김 예비후보의 복안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의 각종 사업들 중 사업 우선순위를 재선정 또는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해 필요 예산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김 예비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무상버스 공약 비판 논란을 의식한 듯 "해내는 사람은 길을 찾고, 못하는 사람은 핑계를 찾는다. 사실을 과장하고 왜곡하는 것은 마치 허공을 향해 창을 찌르는 것과 같다"며 경쟁후보들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