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건전성 우려 vs 투자자에 대한 신뢰회복
[미디어펜=백지현 기자]올해도 국내 시중은행의 고배당 정책에는 변함이 없을 전망이다. 지난해 저금리 속에서 은행권 실적이 대폭 개선되면서 배당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권 일각에선 재무건전성에 대한 우려와 함께 국부유출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은행권은 실적이 늘어난 만큼 배당을 확대, 투자자에 대한 신뢰 회복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 올해도 국내 시중은행의 고배당 정책에는 변함이 없을 전망이다. 지난해 저금리 속에서 은행권 실적이 대폭 개선되면서 배당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사진=미디어펜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주주에게 주당 1450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는 전년 배당액 1200원에 비해 20.8% 늘어난 수준이다. 총 배당액도 전년보다 1190억원 가량 확대된 6876억원이다. 

KB금융지주는 작년 결산 배당을 주당 1250원으로 정했다. 전년도 배당액 980원과 비교해 28% 늘어난 규모다. 총 배당액은 전년보다 1200억원 가량 늘어난 4980억원이다.

하나금융지주와 우리은행, IBK기업은행의 배당액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지난해 실적이 대폭 개선되면서 배당액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하나금융의 주당 배당금(중간 배당 포함)을 1250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1조3000억원의 실적을 무난히 넘기며, 2012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데다 자산건전성 부문에서도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고배당에는 큰 무리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에 대해서도 고배당 기대감이 형성돼있다. 특히 올해는 과점주주 체제로 전환한 만큼 주주친화정책 흐름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지난해 우리은행의 주당 배당금은 500원이다. 배당성향은 32%, 배당수익률은 5.7%로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배당성향은 배당금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많은 배당이 돌아간다.

기업은행 역시 주요 주주인 정부가 매년 기업은행에 대한 배당성향 목표를 올리면서 배당확대가 점쳐지고 있다.

이처럼 시중은행의 배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금융권 일각에선 재무건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배당 수준을 정하는 것은 은행 자율에 맡겨야 하는 문제”라면서도 “다만 금융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배당 등 수익잔치를 할 게 아니라 내부유보를 늘려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여기다 일부 은행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배만 불린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실제 주요 금융지주사들의 외국인 지분은 대부분 60%가 넘는다. 5대 시중은행의 배당을 통해 외국인이 가져갈 현금은 1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상황에서 고배당 정책이 ‘국부유출’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앞서 진웅섭 금융감독원 원장은 지난해 11월 시중은행장과의 간담회에서 “합리적인 배당정책을 통해 적정수준의 자본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특히 수출과 내수 부진 등으로 올해 경제전망이 밝지 않고, 바젤Ⅲ 시행, 위험가중자산 규제 강화, IFRS9 도입 등 규제환경 변화를 고려해 적정 수준의 자본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은행권은 실적이 좋아진만큼 배당을 확대해 투자자와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회복을 강화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실적을 낸 만큼 주주에게 배당을 통해 돌려주는 것”이라며 “최근 주주친화정책에 대한 흐름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