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세헌기자] 글로벌 공급과잉에 캐나다와 미국의 반덤핑 관세까지 겹치면서 최근 겨우 숨고르기를 한 국내 철강업계에 또 다른 걱정거리가 쌓이게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3일 코트라(KOTRA)와 한국무역협회, 철강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달 28일 한국산 철강제품인 인동에 대해 예비판정의 2배가 넘는 반덤핑 관세를 확정했다. 

미국 상무부가 한국산 인동에 대해 8.43%의 반덤핑 관세 최종판정을 내린 것으로, 예비판정 결과인 3.79%의 2배 이상의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인동(Phosphor Copper)은 인을 포함한 동으로 탈산제나 인청동 제조용으로 주요 사용된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대 미국 인동 수출액은 356만 달러 규모에 달한다.

지난해 3월 미국 철강제조사인 메탈러지컬 프로덕츠는 한국산 인동이 자국 판매가격보다 싼 가격에 수출되고 있다며 한국 철강업체인 봉산을 미 상무부와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했다.

이에 상무부는 예비판정에서 3.79%의 비교적 낮은 관세를 부과했으나, 실사 등을 거쳐 8.43%로 세율을 높인 바 있다.

미 ITC의 산업피해 최종판정 예정일은 다음 달 13일로, 만일 '산업피해 긍정판정'이 내려지면 같은 달 20일부터 8.43%의 반덤핑 관세가 부과될 전망이다.

국내 철강업계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관세장벽이 높아진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새 정부 출범 전 조사가 시작된 것인 만큼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번 미국의 반덤핑 관세 조치는 앞서 캐나다가 한국산 철강구조물에 최대 42.8%의 반덤핑 관세 부과 예비판정을 내린 데 이은 것으로 북미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내 철강업체 다소 부담이 될 전망이라는 견해도 있다.

   

캐나다 국경관리청은 지난 1월 26일 발표한 6개 국가의 철강구조물 반덤핑 및 상계관세 예비판정 결과에서 한국, 중국, 스페인에 대해 덤핑과 보조금 지급 혐의가 인정된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9월 현지 철강회사 3곳은 한국산 등의 철강제품이 자국에서 팔리는 것보다 낮은 가격에 수입되고 있다며 제소했다.

우리나라 산업용 철강구조물의 캐나다 수출은 지난해 1∼11월에 전년동기대비 368.2% 증가한 7억976만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런 급증세가 캐나다 측의 반덤핑 예비판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번 미국의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나온 첫 반덤핑 관세 최종판정이라는 점에서 철강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국내 철강업계는 인프라 확대를 공약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으로의 수출이 증가하지 않을까 내심 기대했지만, 최근 미국에서 제작되는 모든 송유관을 미국산 철강으로 만들 것이라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안심할 상황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지난해 국내 철강업체가 미국에 수출한 송유관은 47만톤(약 2900억원)에 달한다. 매년 10만톤 가량의 송유관을 미국에 수출해온 현대제철과 세아제강이 직접적인 피해를 볼 수 있는데, 송유관을 만드는 데 쓰이는 철강제품을 공급해온 포스코에도 적잖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가까스로 실적을 올렸던 국내 철강업계에 최근 안 좋은 소식이 연속 날아들고 있는 형국"이라면서 "미국 등이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부분이 우려되는 만큼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경영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