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D‧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 당국의 경제보복이 가시화되면서 금융권도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사드로 촉발된 한중갈등이 장기화하면 중국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금융회사 영업에 미칠 후폭풍이 우려된다.

현재까지 중국에 진출한 금융회사에 가해진 직접적인 피해사례는 접수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금융정책이 불확실한 만큼 중국법인에 대한 영업 전략 논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 한미간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D‧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 당국의 경제보복이 가시화되면서 금융권도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저마다 저금리‧저성장인 국내 영업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글로벌화에 주력해왔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중국에 진출한 KEB하나‧신한‧KB국민‧우리은행 등의 중국 해외 점포 자산 규모는 202억 달러를 넘어섰다.    

하지만 최근 사드배치로 인한 중국 내 반한 감정이 악화되면서 중국에 진출한 국내 시중은행의 수익성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현지법인에 대한 세무조사를 강화하거나 사업 불허, 지점 확장 제한 등의 방법으로 영업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불안감이 팽배하다.

이에 따라 우리 금융 당국은 중국에 진출해 있는 금융회사를 상대로 중국으로부터 부당한 조치를 받을 경우 보고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아직까지 중국 당국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국내 금융회사는 없다”면서도 “중국이 한국기업에 대한 보복을 기정사실화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대책을 논의하는 한편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도 이미 롯데그룹 계열사에 대한 여신 리스크 점검 등을 포함한 대응책 마련에 착수한 상태다.  시중은행이 롯데 중국 계열사에 지급 보증한 금액은 3200억원 수준이다.

앞서 위성호 신한은행장은 전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드 여파에 따른 여신관리에 대해 “중국정부의 금융정책에 대응해서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경제 외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은행이 도울 부분에 대해 고민해 보겠다”고 밝혔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중국의 사드배치 보복이 갈수록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금융정책이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크다”며 “앞으로 중국 현지에 진출하려는 점포에 대한 제한을 두거나 인수·합병(M&A) 등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일 가능성도 크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까지 사드보복에 따른 뚜렷한 피해나 수익감소는 드러나지 않다”면서도 “반한 감정이 지속되면 수익성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한 전략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