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우리나라의 사회 통합 수준이 20여년 동안 경제협력개발(OECD) 회원국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 통합 지수 개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995년부터 2015년까지 5년 마다 측정한 사회 통합 지수에서 우리나라는 5차례 모두 지수값 0.2(1기준 상대값)을 기록했다. OECD 30개 회원국 중 29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통합 지수가 낮다는 것은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나이, 재력으로 인한 차별이 심하고 사회 제도와 타인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는 의미다. 

사회 통합 지수는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 △사회 이동 △사회 갈등과 관리 등 네 가지 항목으로 산출했다. 

그중 우리나라는 사회 구성원이 제도를 통해 권리를 실현하고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자원을 향유할 수 있게 하는 제도 역량을 측정하는 '사회적 포용' 항목에서 5차례 모두 꼴지를 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사회적 포용은 '상대 빈곤율', '성별 임금 및 고용률 격차', '비정규직 고용 보호', '비자발적 임시근로자 비율', 'GDP(국내총생산) 대비 노인을 위한 사회지출' 등의 세부 항목으로 이뤄졌다.

보고서는 "국가 간 비교 결과 한국의 사회 통합 수준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종합지수와 사회적 포용 지수가 20년 동안 순위 변화가 없고 사회 갈등과 관리 지수가 악화했다는 사실은 사회 통합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발상의 전환이 시급한 과제임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편, OECD 회원국 중 1995년과 2015년 사회 통합 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들은 덴마크와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등 북유럽 4개국으로 지수값이 0.8∼0.9나 됐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