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정부가 8조원 규모 구조조정 펀드 조성에 나선다.

13일 정부에 따르면 기업 구조조정의 핵심 주체를 채권은행에서 자본시장으로 옮겨놓기 위해 8조원 규모의 구조조정 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시중은행 은행장들과 기업구조조정 관련 간담회를 개최해 '신 기업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하고 그 내용을 확정했다. 임 위원장이 발언 중인 모습 /사진=금융위원회


국책은행·연기금 등이 4조원을 조성하면 민간자금 4조원을 '매칭 투자' 방식으로 추가하는 계획이다.

금융위원회(위원장 임종룡)는 향후 5년 동안 8조원 규모의 기업 구조조정 펀드를 조성하는 내용을 담은 ‘신(新) 기업구조조정 방안’을 13일 발표했다.

이번 기업재무안정 PEF는 지분 투자만 가능한 일반 사모펀드와 달리 투자금의 50% 이상을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업의 부동산, 회사채, 주식 등에 투입할 수 있다. 유동성 위기에 빠진 기업의 자금줄 역할도 가능하다.

정부는 올해 안으로 우선 1조원 규모를 펀드에 출자한다. 이후 4조원까지 서서히 출자 자금을 늘려나간다. 이날 김용범 금융위 사무처장은 "우선 중견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는 게 1차 목표"라며 "몇조짜리 규모의 대기업 구조조정은 아직은 국책은행 주도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산은·수은과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은 1조 6000억원 규모의 한도성 여신 지원 및 보증 프로그램을 올해 상반기에 내놓는다. 금융위는 채권은행이 기업 신용위험평가를 좀 더 깐깐하게 하도록 평가 모형과 운영방식을 바꾸며, 각 은행의 신용위험평가 체계가 적정한지도 점검한다.

채권은행은 매년 거래 기업을 대상으로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해 A∼D등급을 책정한다.

이날 정부는 채권금융기관이 보유한 구조조정 기업을 한 데 모아 매수-매도자를 연결하는 중계 플랫폼을 만들 계획도 천명했다.

김 사무처장은 "객관적 신용위험 평가와 워크아웃 지속 여부에 대한 엄격한 평가 등을 통해 부실징후가 있는 기업을 조기에 발굴하면 신속한 구조조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