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발표
[미디어펜=김관훈 기자] 2045년 우리나라 총가구수는 2232만가구에 이르고 평균 가구원수는 2.1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혼자 사는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가 지금보다 3배나 늘어나는 등 1인 가구의 비중이 3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가구수는 2015년 1901만 가구에서 3043년 2234만 가구까지 증가한 후 이를 정점으로 점차 감소해 2145년엔 2232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총인구는 2031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전망이나 가구는 1인 가구 증가 등 가구의 분화로 인해 2043년에 정점을 이룰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가구수가 늘어나는 대신 평균가구원수는 2015년 2.53명에서 점차 감소해 2045년엔 2.1명까지 들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가족으로 이뤄진 친족가구 비중은 2015년 71.6%에서 2045년 62.4%로 감소된다.

2015년에는 가구유형중 부부+자녀가구가 32.3%(613만2000가구)로 가장 많고, 1인 가구 27.2%(518만 가구), 부부가구 15.5%(295만2000가구) 등의 순이었지만 2045년엔 1인 가구 36.3%(809만8000가구), 부부가구 21.2%(474만2000가구), 부부+자녀가구 15.9%(354만1000가구)의 순으로 변화할 전망이다.

1인가구와 부부가구의 비중이 각각 9.1%포인트(291만9000가구), 5.7%포인트(179만가구) 늘고, 부부+자녀가구 비중이 16.4%포인트(259만1000가구)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부 또는 모와 함께 사는 한부모 자녀가구(분거가족 포함)는 2015년 10.8%(205만2000가구)에서 2045년에는 10.1%(225만7000가구)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조부모 및 자녀와 함께 사는 3세대 이상 가구는 103만4000가구(전체가구의 5.4%)에서 64만5000가구(2.9%)로 3분의 1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가구주의 연령은 2015년 40~50대가 48.0%로 가장 많았으나 2045년에는 60~70대가 40.1%로 가장 많아지고, 고령화의 영향으로 남자 70대 가구주가 13.6%로 가장 많아지고, 여자도 80세 이상 가구주가 7.8%로 가장 많아질 전망이다. 가구주 중위연령은 50.6세에서 64.0세로 13.4세 높아진다.

유배우 가구주는 14.6%포인트가 감소할 전망이나 미혼 가구주는 8.9%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1인 및 2인 가구가 연평균 각각 9만7000가구, 9만5000가구씩 증가하면서 1인 가구 비중은 36.3%, 2인 가구 비중은 35.0%로 1~2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71.2%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4인가구 비중은 18.8%에서 7.4%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366만4000가구에서 1065만3000가구로 2.9배 증가하고, 65세 이상 1인 가구는 120민3000가구(32.8%)에서 371만9000가구로 2015년에 비해 3.1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65세 이상 부부가구는 121만5000가구(33.2%)에서 310만3000가구(29.1%)로 2.6배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고령화로 사별가구는 늘어나지만 미성년자녀를 둔 결혼기간이 짧은 부부의 이혼이 감소하면서 이혼·사별에 의한 한 부모 가구는 2045년까지 연평균 4000가구씩 143만1000가구로 중가할 전망이다.

다만 전체 한 부모 가구중 이혼·사별에 의한 한부모 가구 비중은 64.3%에서 63.4%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2035년 한국의 1인 가구 비중은 일본보다 낮고 영국·호주보다는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미디어펜=김관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