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도·파주 무인항공기 북한製?'…"청와대 정찰 사실로"

 
지난 31일 오후 4시 18분께 서해 백령도 사곶교회 옆 도로에 추락한 무인항공기의 제작 출처가 북한인 것으로 사실상 확인됐다. 이 무인기는 원통형 기체에 가로 2m, 세로 1m 크기이고 카메라가 장착됐다.  
 
특히 이 무인항공기가 지난 달 24일 파주에 추락한 무인항공기와 크기(가로 2m, 세로 1m)나 하늘색에 구름 모양의 색을 입혀 위장한 기체 도장 형태가 유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사실상 청와대 상공이 초소형 항공기를 이용한 자폭 공격 등 다양한 형태의 테러에 무방비로 노출된 것으로,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 무인항공기(사진은 해당 기사와 무관합니다.) 사진출처=뉴스와이 캡처
 
북한이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박근혜 대통령의 집무실 등이 있는 청와대를 제집 안방 들여다보듯 했다는 말이기 때문이다. 마음만 먹었다면 곧바로 자폭 공격도 가능했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정홍원 국무총리까지 나서서 관계 당국에 대공 용의점이 없는지 철저한 수사를 당부했지만 군과 정보당국은 구체적인 내용확인을 거부한 채 현재까지도 철저하게 함구하고 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네덜란드 핵 안보 정상회의 참석차 유럽 순방중이어서 다행히 사건이 커지지 않았지만, 이번 백령도 무인기로 인해 북한의 소행이 확실해 지면서 청와대 경호라인은 물론 우리 군의 국가 안보에 심각한 허점이 있음이 드러난 셈이다.
 
특히 파주에 무인항공기가 떨어졌다는 뉴시스의 3월25일 단독 보도<[단독]파주 야산서 무인항공기 발견…청와대 등 촬영 확인">에 대해서도 당시 관계 당국은 대공용의점이 없다고 성급하게 서둘러 발표하는 등 책임 회피에만 급급했다. 당국은 보도 이후 무인기가 내비게이션 지도를 제작하는 데 쓰인다거나 동호회 등이 날린 것으로 보인다거나 청와대 등을 찍은 사진의 화질이 떨어진다며 사건 무마에만 열을 올렸다.
 
 하지만 지난 달 31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파주에 추락한 소형 무인항공기의 1차 조사결과 일반 동호인용 항공기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서 입장이 난처해진 상황이다. 특히 항공촬영에 주로 쓰이는 광각렌즈가 장착된 만큼 이를 이용해 북한이 서울 하늘을 마음대로 휘젓고 다니며 정찰과 정보 수집을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정부의 안보라인이 사실상 허물어진 것은 고사하고 청와대까지 위험에 노출시켰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파주에 추락한 무인기의 기체 크기는 당초 알려진 대로 가로 1.9m, 세로 1m였으며 스텔스기를 본떠 삼각형 모양으로 제작됐다. 내장 부품은 일본과 중국 등이 혼재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프로펠러와 광각렌즈가 장착되어 있었고 몸체에 하늘색 바탕에 흰색 구름무늬로 도장해 육안으로 식별이 어렵게 위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추정 비행경로는 파주 일대에서 날아가 서울까지 약 17㎞를 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략 이정도 크기의 무인기는 상공 2㎞에서 비행이 가능해 정찰 임무는 물론 직접 공격도 문제없다는 게 군 전문가들의 평가다.
 
 더욱이 파주 무인기에는 비행 컨트롤러가 장착돼 있어 착륙지점의 좌표만 입력해도 알아서 비행한 뒤 되돌아오는 기능도 탑재됐다. 엔진을 동력으로 사용한 것도 동호인들이 배터리를 연료로 쓰는 것과 차이가 있었다. 파주 무인기 사건 당시 관련 기관이 동호인들이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던 발표가 모두 거짓이었다는 말이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파주 무인기와 관련해 당시 "청와대 인근은 비행금지 구역인데, 초경량 항공기지만 청와대 부근 방공망이 뚫린 것이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자살폭탄테러에 활용되는 IED(사제 급조 폭발물·Improvised explosive device)를 카메라 대신 장착해 떨어뜨렸다면 대통령도 위험에 처할 수 있었다"고 우려했었다.
 
 그러면서 "청와대의 경비가 허술해 자폭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된 것이다. 등산객이 발견해 신고하기까지 이 항공기가 청와대를 찍은 것을 아무도 몰랐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며 "현재로서는 이 항공기가 북으로 넘어가려다 파주 인근에서 추락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었다.
 
 특히 이번 백령도 무인항공기의 경우 31일 북한이 서해 NLL을 중심으로 7개 구역에서 500여발의 포격을 해댄 뒤 발견된 만큼 대공 용의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무인기에 달린 광각렌즈로 무엇을 촬영했는지 사진을 확인하면 북한의 의도를 그대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번 일로 인해 2010년 연평도 포격 당시 관찰된 북한의 무인기 실체가 확연히 드러나게 된 것이다. 북한이 무인기를 실전에 투입해 정찰 활동에 적극 활용해왔다는 것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이는 정부는 물론 군이 무인기가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다는 이유로 구체적인 정보가 없이 실체도 파악 못한 채 그동안 북한을 상대했다는 말이기도 하다.
 
 북방한계선(NLL)을 포함한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우리 부대의 위치 등 군사적 요충지는 물론 청와대 등 서울의 주요 거점을 그대로 노출시켜 대통령까지 위험에 무방비로 놓이게 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차제에 소형 비행체 탐지가 불가능한 저출력 레이더 대신 고출력 레이더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일이 확인 된 이후 신인균 대표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3m 미만의 소형 비행체로 300m 이하의 저공비행을 하게 되면 스텔스형이 아니어도 저출력 레이더로는 탐지하지 못한다"며 "이번 일로 청와대와 국방부 등 국가 전략시설이 있는 곳에는 고출력 레이더를 구비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와대와 국방부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설이 있는 강북 요충지는 소형 무인기의 비행이 불가능하도록 법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이렇게 하면 일반인들도 알게 되고 무인기가 날아다니는 것을 보게 되면 곧바로 신고하게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