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리스크 가운데 기업부문에서는 회사채 시장 양극화가 위험요인

가계부채가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의 부채가 가장 크게 늘어나면서 취약계층의 상환 부담이 국내 리스크의 중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 2월 발표한 '가계부채 구조개선 촉진방안'을 내세워 시스템적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차단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3일 정례브리핑에서 '1분기 금융부문 평가 및 향후 대응방향'보고서를 통해 "경기회복 등에 따른 시장금리 상방위험이 커진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상환부담 가중에 따른 불안요인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소득1분위(하위 20%)의 부채는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연간 증가율이 무려 24.6%에 달할 정도다.

   
▲ 신제윤 금융위원장/뉴시스

금융위는 가계 소득 대비 부채 비율 관리, 주택담보대출 금리·상환구조 개선 등을 통해 가계부채 구조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국내리스크 가운데 기업부문에서는 회사채 시장 양극화가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회사채 시장의 양극화로 기업 자금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경기회복이 지연될 경우 취약업종 중심으로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금융산업분야에서는 상호금융의 높은 가계대출 비중, 증권사들의 유동성리스크 등 구조적 요인이 문제로 지적됐다.

금융위는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를 개선하고, 부실기업에 대한 조속한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한편 상호금융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제2금융권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1분기 국내외 금융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양적완화 축소 등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의 경기회복 등에 힘입어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 것으로 평가됐다.

금융위에 따르면 최근 중국경제 관련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고, 신흥국발 금융위기 가능성도 각국의 정책대응 등으로 완화되는 모습이다.

다만 중국 경제의 경착륙과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우려로 선진국과 신흥국간 탈동조화 현상(디커플링)이 심화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국내 금융시장의 경우 건실한 경제 기초체력을 바탕으로 금리·주가·환율 등 주요 금융시장 지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미디어펜=장영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