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19대 문재인 정부’가 탄생되면서 시대정신이 된 ‘통합’에 대한 약속이 어떻게 실현될지 주목된다. 정권교체에는 성공했지만 여소야대 상황에서 ‘절대 강자’가 없는 차기 정국은 살얼음판을 걸을 전망이다.

제1당이면서도 119석(39.8%)을 차지하고 있는 민주당으로서는 당장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한 내각 구성부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게다가 25% 득표율을 넘기면서 2위를 차지한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의 선전으로 ‘강한 야당’이 만들어질 경우 새 정부의 견제역할이 주목된다. 결국 새 정부가 ‘협치’하는 것만이 살길이라는 결론이 나오는 가운데 국민의당과 바른정당과의 연대 가능성도 제기됐다.

한때 문 당선인과 양자 대결구도까지 벌였던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지지율은 20% 초반에 머물면서 3위로 주저앉았다. 이 때문에 향후 국민의당에서 민주당으로 이탈하는 세력이 생기는 등 당내 갈등이 예상할 수 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역시 10%이상의 지지율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한국당으로 추가 이탈자가 나올 수 있다. 유 후보의 지지율이 10% 이상 나올 경우 추가 탈당자 없이 버티기에 들어갈 수도 있었겠지만 홍 후보의 선전이 보수의 결속을 재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9일 밤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열린 시민들과 함께하는 개표방송에서 활짝 웃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한차례 탈당 사태를 겪은 바른정당이나 안 후보의 가능성을 엿본 국민의당이 당의 원형을 유지하는데 안간힘을 쑬 수 있다. 대다수 정당의 대선후보들이 이미 새정부에서 개헌을 약속했으므로 헌법개정이 완수될 경우 소수당도 원내정당으로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치권은 당분간 팽팽한 다당 체제를 유지해 저마다 협상력을 키워서 새 정부에서 권력 분점 개헌 작업이 착수될 경우 캐스팅보트를 쥐기 위해 분투할 가능성도 크다. 이런 형국은 적어도 내년 지방선거 직전까지 이어질 수 있어 또다시 선거 정국에 들어서면 실리를 챙기려는 각 당의 이합집산 움직임은 재가동될 수 있다.  

당장 문재인 정부의 당면 과제인 협치를 풀기 위해서는 집권 초기 민주당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까지 아우르는 통합 정치세력을 만드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박상철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민주당이 국민의당 바른정당까지 합쳐서 160석으로 주도하는 통합정치세력을 만들어야 한다”며 “한국당과 정의당은 이념 정당으로 남겨두더라도 나머지 중도세력이 힘을 합해 협치를 실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렇게 하려면 중도 정당과 합리적인 보수 세력과는 장관자리를 과감히 나눠야 한다. 당내 주도 세력도 다양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대선을 치르면서 차기 정부에서는 큰 범주에서 보수당과 진보당으로 나뉘는 합종연횡이 일어날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서 우리 보수와 진보는 ‘레드 콤플렉스’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상휘 세명대 교수는 “유럽의 진보 보수 사이에 물리적 저항이 없는 것과 달리 우리는 북한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진영간 심리적 갈등의 산물이 엄연히 존재한다”며 “친북이나 아니냐 외에 우리 보수와 진보의 단순한 헤게모니에서는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없다”고 단언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