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세헌기자] 4차 산업혁명의 시작인 ‘사물인터넷’에는 과거의 기계식 센서와 달리 소형의 최첨단 스마트 기기에 이용될 수 있는 초소형의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센서가 요구된다. 

MEMS 센서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미세가공 기술을 응용해 제조한 마이크로 혹은 나노 단위의 고감도 센서를 의미하며 모션센서, 환경센서, 음향센서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26일 특허청에 따르면 MEMS 센서 관련 특허출원은 2012년 41건에서 2016년 61건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MEMS 센서 분야는 기술의 난이도가 높고 개인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기술분야라는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출원이 정부출연 연구소, 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내 대기업 및 외국기업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간 출원을 살펴보면 국내 대학 산학협력단(46건, 18%), 국내 대기업(40건, 15%), 정부출연 연구소(21건, 8%)의 출원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MEMS 센서의 출원이 증가하는 이유는 MEMS 센서가 기존의 기계식 센서와 비교하여 차세대 스마트 기기에 요구되는 저가격, 소형화, 고효율 및 고신뢰성을 만족시킬 수 있고, 사물인터넷 시대에 따라 활용분야가 더욱 확대되고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반도체 시장조사기관인 IC인사이츠 보고서에 따르면, MEMS 기반 센서의 시장 규모는 글로벌 경제침체 등으로 인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는 1%대의 성장에 그쳤지만, 2018년경 12억2000만 달러(1조2425억원)까지 늘어날 것이며, 평균 매출 성장률도 11.7%에 이를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특허청은 올해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 지원 사업’에 129억의 예산을 투입해 스마트 센서, 사물인터넷 등의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분야에 대한 IP-R&D 지원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IP전략 개발 및 지원을 집중할 계획이다. 

박시영 특허청 정밀부품심사과장은 “우리나라는 세계 1위의 반도체 및 휴대폰 제조업체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MEMS 센서의 국산화 비율은 매우 저조한 형편이다“며 ” 따라서 향후 4차 산업 혁명의 사물인터넷 시대에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MEMS를 활용한 첨단 복합센서의 기술개발 및 원천특허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