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이미 예상된 만큼 여파는 크지 않을 것"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올 들어 두 번째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 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집중된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올 들어 두 번째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 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집중된다./사진=미디어펜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Fed는 오는 13~1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인상할 전망이다.

시장에선 인상 폭을 0.25%포인트로 보고 있다. 현재 미국 정책금리는 연 0.75~1.0%로 여기서 0.25%포인트 인상이 결정되면 연 1.0~1.25%가 된다.

연준이 단계적인 정책금리 인상을 예고해왔던 만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될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은 지난해 말과 올해 3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올렸다. 연준이 이달에 이어 9월에도 금리를 인상하면 한미 금리는 역전된다.

이달 미국의 금리인상은 이미 예상됐으며 시장에 반영된 만큼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여파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Fed의 이달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예상됐던 일이다”며 “최근 채권과 주식시장에 외국자본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어, 이번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언급했다.

한은도 지난달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현재 금융‧경제 상황에 비춰보면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그동안 완화기조를 강조해 온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이날 처음 금리인상의 필요성에 대해 처음 언급했으나, 한은이 이른 시일 내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이 총재는 한은 창립 제67주년 기념사에서 “앞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될 경우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당분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혀 당장 기준금리를 변경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