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항일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청약 열기도 뜨거워지면서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규제 완화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고 집단대출에도 DTI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부동산시장 규제 움직이 가시화되고 있다.

하지만 투자수요 못지 않게 실수요가 여전한 서울은 추가대책이 나온다고 해도 당분간 분양시장 열기는 쉽게 가라않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서울은 분양시장이 과열 양상으로 치닫자 정부가 지난해 청약조정지역(11·3 부동산대책)으로 지정됐다. 

15일 금융결제원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지난 14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신정뉴타운 아이파크 위브'는 평균 5.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 주택형에서 1가구가 미달됐지만 지난 11·3 대책부터 기타지역과 당해지역의 청약을 나눠 진행하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1순위 마감이다. 

서울에서는 11·3 대책 이후 지난 5월까지 19개 단지에서 청약을 진행한 가운데 모두 1순위에서마감됐다. 수십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던 대책 이전 과는 달리 경쟁률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1순위 마감행진은 현재 진행형이다. 

이는 대책 이후 동탄2신도시 등 청약 과열 양상을 보이던 지역들이 1순위 마감에 고전을 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인 모습이다. 

11·3대책으로 청약자격이나 저매제한 등의 요건이 강화되기는 했지만 신도시 등 수도권 다른 곳과는 비교할 수 없는 입지적 요건과 실수요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분양 성적표를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 서울의 청약시장이 좀처럼 식을줄 모르고 있다. 11·3 대책 이후 분양한 19개 단지가 모두 1순위 마감에 성공하면서 향후 시장의 추가 제재 대책에 대한 효율성도 미지수다. 사진은 지난 9일 분양한 신정뉴타운 아이파크 위브 견본주택 현장.

예를 들어 얼마전 분양한 SK건설의 '백련산 SK뷰 아이파크'의 경우 1순위 경쟁률이 평균 5.6대 1이었고, 앞서 진행된 특별공급에서는 100% 소진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앞서 인근에 분양했던 현대건설의 '백련산 힐스테이트'가 1순위 청약에서 잇따라 고배를 마신 것과는 다른 결과로, 11·3 대책 이후 서울에서 신규 분양 아파트가 오히려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이 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 시장 규제책을 내놓는다고 해도 서울에서는 어느 정도 투기세력을 잠재울지 모르지만 정부가 원하는 뚜렷한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가 부활되고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공약 중 하나인 도심재생 뉴딜사업이 본격화 될 경우 강남권 재건축 투자 열기가 강북지역으로 옮겨갈 가능성도 그 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강남 3구의 재개발·재건축 이주 수요가 올해에만 3만여가구에 달한다"며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강북이나 수도권 신도시 등으로 수요가 이동할 경우 전체적인 집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특히 서울 분양시장은 11·3 대책을 넘어서 연착륙을 한 단계"라며 "11·3 대책을 뛰어넘는 강력한 규제가 나온다고 해도 서울의 주거 특성상 단기간 내 효력이 다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조항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