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매각 오늘 분수령…정치권·여론은 박삼구 쪽으로
2017-07-18 07:33:47 | 최주영 기자 | jyc@mediapen.com
금호산업 이사회서 채권단 수정안 논의
정치권 "지역경제 침해·기술먹튀 우려"
정치권 "지역경제 침해·기술먹튀 우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금호타이어 매각의 쟁점인 상표권 사용 조건을 둘러싸고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채권단 수정안에 대한 답변을 18일 내놓을 예정인 가운데 정치권과 여론은 박 회장쪽으로 기우는 모양새다.
![]() |
||
▲ 박삼구 금호그룹 회장 |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은 이날 청문회에서 채권단의 협상태도를 공식 문제삼으며 "금호타이어를 중국 더블스타에 매각할 경우 제2의 쌍용자동차 사태가 우려된다"고 강조했고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재차 '먹튀'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최 후보자가 "산업은행과 우리은행 중심의 채권단에 맡겨놔야 할 문제"라고 선을 긋자, 김경진 의원은 "산업은행이 (더블스타와) 매각가 조정 과정에서 3, 4년 고용 보장을 할 경우 매각가가 낮아질 수 있어 2년 보장을 약속했는데, 그만큼 근로자의 생존권에 대해선 신경을 쓰지 않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박용진 의원 역시 “금호타이어는 호남지역 기업이라는 특성과 고용 불안에 대해 잘 살펴야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매각이 되면) 2년 정도 고용유지가 된다고 하는데 이게 더 불안하다. 그럼 2년 뒤면 고용관계가 어떻게 되는 것이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앞서 금호타이어 임원들은 지난 13일 공동 결의문을 내고 "더블스타로 매각되는 것에 반대한다"며 "매각 시 전원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자리에서 임원들은 "부적격업체인 더블스타로의 매각에 결사반대한다"며 "금호타이어가 금호아시아나그룹 소속으로 남을 수 있기를 채권단에게 강력히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금호타이어 연구원 및 본사 일반직 사원 750여 명도 경기도 용인 중앙연구소와 서울 종로구 본사 사옥에서 각각 경영 정상화를 위한 사원 간담회를 열어 채권단에 매각 중단을 요구했다.
![]() |
||
▲ 금호타이어의 임원들과 부서장들이 매각 위기에 처해 있는 회사의 경영 정상화 방안을 수립하고 회생을 위한 결의를 다짐했다./ 사진=금호타이어 제공 |
이런 가운데 금호타이어 기반인 호남지역 경제계와 정치권을 중심으로도 기술력의 해외유출, 고용 불안정, 지역근로자 생존권 위협 등을 우려하는 매각 반대 여론이 거센 상황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과 업계에 따르면 박 회장 측은 이날 오후 채권단의 상표권 수정 제안에 대한 최종 입장표명을 앞두고 다양한 카드를 고심하고 있다.
앞서 채권단은 더블스타의 상표권 사용조건과 관련해 12년 6개월 동안 더블스타와 박 회장(0.5%)이 제시한 사용 요율의 차이인 0.3% 만큼을 보전해주고, 7년 6개월 동안은 0.3%를 적용하는 안을 금호산업측에 전달했다.
이에 대해 금호산업의 이사진들은 부정적 뜻을 내비쳤다. 금호 상표권에 대해 더블스타가 12년 6개월 동안 사용한다는 전제가 없고, 이 중 7년 6개월 동안 사용요율이 0.3%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12년 6개월간 평균 사용 요율은 0.38%가 된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 14일 금호아시아나그룹이 개최한 '2017 하반기 전략경영회의'에서 금호아시아나 임원진 150여명도 이에 대한 우려를 내비쳤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한 임원은 "산은의 수정 제안은 더블스타와의 계약(연 매출 0.2%, 5년 사용 후 15년은 언제든 해지 가능)을 근본적으로 바꾼 게 아니라 차액(847억원)만 보전해주는 셈"이라고 매각 절차상 문제를 제기했다.
업계에서는 이날 박 회장이 채권단에 꺼낼 두 가지 카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첫째는 박 회장 측이 채권단 측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더블스타는 금호타이어 방산부문 인수승인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 신청하고 채권단과 금호타이어 채권만기 연장을 놓고 협상을 진행하는 등 매각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두번째는 박 회장 측이 당초 채권단에 요구했던 상표권 사용기간 20년을 충족시키지 못했고 현재 더블스타와 채권단이 체결한 상표권 사용기간이 5년이라는 점 등을 들어 개선을 요구하면서 9월까지 시간을 끄는 방법이다.
박 회장 측은 중국사업(난징.톈진.창춘 공장과 상해판매법인) 매각안과 함께, 기업 정상화 후 유상증자 지분과 채권단 지분을 합친 53%를 경쟁입찰로 공동 매각하자는 안도 내놓은 만큼 추후 재매각 추진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박 회장 측이 이날 채권단의 수정 절충안을 받아들일지 채권단에 또다른 절충안을 제시할 것인지 주목된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