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의 진정한 혁신은 '규제완화'와 '작은정부'
규제개혁 없이 생산성 논하는 것은 '정치 쇼' 불과
[미디어펜=조우현 기자]미래창조과학부가 4차 산업혁명 주무부처에 걸맞은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제1기 '주니어보드'를 출범했지만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진짜 '혁신'이 가능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유영민 미래부 장관은 17일 과천청사에서 열린 '주니어보드' 출범식에 참석해 "공무원도 혁신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 "과학기술 혁신과 4차 산업혁명 선도가 우리 손에 달려있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우리부터 솔선수범해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주니어보드'는 미래부의 조직문화 개선을 논의하는 임시조직이다. 유영민 미래부 장관을 포함, 과장급 이하 실무진 15여명이 참여했다.

   
▲ 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11일 오후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후생동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을 마치고 차관들과 대화하고 있다./사진=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미래부는 앞서 정례브리핑을 통해 "생산성을 저해하는 업무를 개선하고, 과학기술혁신 컨트롤타워 및 4차 산업혁명 주무부처에 걸 맞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업무혁신TF’와 '조직혁신TF'를 운영키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은 미래부의 야심찬 출발에 응원을 보내면서도 경직된 공무원 문화 속에서 진짜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두고 봐야한다는 입장이다. 또 4차 산업 혁명의 가장 큰 걸림돌인 '규제'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오정근 건국대 정보통신대학원 특임교수는 "현 정부가 들어선 후 성과연봉제가 폐지됐다"며 "성과연봉제를 폐지한 것은 연공서열을 인정하겠다는 것이고, 이는 직급에 구애 받겠다는 이야기로 풀이되는데 직급에 구애 받는 분위기 속에서 미래부의 진정한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 정부의 정책 중 하나가 공무원 수를 늘리는 것인데 그것부터가 혁신과는 거리가 먼 정책"이라며 "조직이 커지면 과장·국장 등 관료가 필요하고, 그러다보면 전문성·창의성 보다는 다른 것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

이어 오 교수는 "우리나라 공무원 조직의 가장 큰 문제는 그 수가 많고,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라며 "전통적인 직급에 구애받지 않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영입할 수 있는 과감성을 보이는 것이 진짜 '혁신'"이라고 조언했다. 

현진권 경제평론가(전 자유경제원 원장)는 "민간에 봉사하는 것이 공공기관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사명'"이고 'Public Servant(공무원)'라는 영단어에서 그 어원을 확인할 수 있다"며 "공무원 조직이 '생산성'을 논하는 것은 애초에 성립할 수 없는 말"이라고 지적했다.

현 평론가는 이어 "공무원 조직이 진정으로 민간에 봉사하기를 원한다면 민간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규제 완화'에 힘써야 한다"며 "규제가 완화되면 규제가 본질인 공무원 수가 적어져 자연스레 '작은정부'로 갈 수 있고, 그것이야 말로 진정한 '혁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