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대 직장인 K씨. 스마트폰으로 스마트카에 시동을 걸고 퇴근길에 오른다. 퇴근 후 푹신한 소파에서 드라마를 보다 맘에 드는 제품은 스마트TV로 바로 주문한다. 하지만 K씨의 이런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집안 보안을 이유로 설치한 CCTV와 스마트폰에 탑재된 내비게이션이 해킹되면서 사생활 노출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주부 H씨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취미생활인 사진촬영을 즐긴다. 자녀 사진은 물론 동호회 사진 등 그녀의 일상을 폰카에 담았다. 그런데 얼마 전 인터넷에 올라온 사진을 보고 기겁을 하고 말았다. 동호회 사람들과 수영하는 장면이 인터넷에 올라온 것. 자신만이 간직한 사진이 유출된 것을 확인하고 사이버수사대에 수사를 의뢰했다. 수사결과 그녀의 포털계정이 해킹을 당하면서 타인이 모든 사진을 훔쳐 본 것이다.

스마트폰 보급 확산 등 IT융합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해킹 피해가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교통망 마비, 스마트 그리드 해킹 등 대재앙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특히 자동차, 스마트폰 등 보안 피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액은 16조~2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21일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사물인터넷 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빈번해지는 보안사고로 파해규모도 눈덩이 처럼 불어나고 있다.

즉, 단순히 전화만 주고받던 핸드폰 기능이 인터넷(IT)와 접목돼 동영상, 사진첩 기능 등을 추가하면서 보안위협도 가상의 사이버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실제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융합보안 피해는 GDP의 1% 규모로 2015년 13조4000억원에서 2020년에는 17조7000억원, 2030년 26조7000억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여기에 국가 신용도 하락, 2차 피해 등을 고려하면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게 산업연구원의 분석이다.

이를 근거로 산업별 융합보안사고 산업별 피해액을 추정하면, 스마트카의 경우 보안사고가 발생해 국산 자동차의 최종수요가 10% 감소하면 연간 24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불가피하다.

자동차가 안 팔려서 발생하는 손실 13조원에 휘발유, 전기전자, 금속 수요 감소 등을 감안한 것이다.

스마트폰 피해액은 무선통신단말기 5조3000억원, 전기전자 5조1000억원, 부동산 서비스 2조1000억원 등을 합치면 약 16조원에 달한다.

서비스산업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하면 일정기간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다른 산업부문에도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금융기관에 대한 보안공격으로 인해 금융산업이 1%의 지장을 받으면 금융산업은 총 1조7000억원 이상의 피해가 예상되고 전산업에 미치는 간접 피해는 6000억원 이상이다.

통신, 교통, 전력망 등의 국가기간시설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한다면 경제적 손실은 더 크다.

우리나라 인터넷망에 1%의 작동불가(inoperability) 상태가 발생하면 전산업에 걸쳐 약 1조4000억원에 육박하는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아직 우리나라에는 지식정보보안 관련 규제와 지원 통합 체계가 미흡하다는 점.

사이버보안을 위해 국가공공 분야는 국가정보원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 민간분야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 국방분야는 국군사이버사령부에서 각각 분야별 임무를 분담하고 있다.

사고가 났을 경우 통합적인 대응이 힘들다는 얘기다.

황원식 KIET 부연구위원은 “향후 보안피해는 국가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확산될 수 있어 방재·안전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해 사고피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관 설립이 시급하다”며 “융합보안산업을 육성하려면 국내 IT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간 협업이 필요하고, 국제표준을 선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