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대형증권사들이 국내 신규상장 기업들의 IPO시장을 독식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형사들은 중국기업 IPO에 집중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이른바 ‘차이나 리스크’가 예전보다 완화된 것은 분명하지만 여전히 중국에 대한 의구심이 완벽하게 사라지지는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업계에서는 중국기업에 대한 ‘기회와 위협’이 동시에 부각되는 모양새다. 우선 중소형 증권사들은 대형사들이 독식하다시피 한 국내기업 IPO(신규상장) 대신 중국기업 IPO에 화력을 집중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최근 동부증권은 중국의 기계장비 제조업체인 췐용기계집단, 중국 의료용품 제조기업인 캉푸인터내셔널 등 중국기업 5곳과 코스닥 상장주관 계약을 맺어 업계의 화제가 됐다. 유안타증권과 하나금융투자 역시 중국기업과 접점을 늘려가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 10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는 국내에 진출한 중국원양자원에 대해 '개선기간 종료'를 밝히는 공시를 발표했다. 중국원양자원은 지난 2009년 상장 후 허위공시로 주가 하락을 유도하는 등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되기까지 했다. 이후 재감사에서조차 ‘거절’ 의견을 받아 결국 금융당국이 ‘포기선언’을 한 셈이 됐다.

지난 5월 상장폐지가 결정된 중국기업 완리인터내셔널홀딩스에 대한 이의신청도 지난 11일 종료됐다. 조속한 시일 안에 적정의견을 받은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못할 경우 상폐가 확정된다. 업계에선 이미 상장폐지 쪽으로 무게가 실려 있다.

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국내 기업 중에도 분식회계 하는 곳이 있는 만큼 소수사례를 전체로 확대해석할 필요는 없다”면서도 “(원양자원과 완리의 사례가) 중국기업에 대한 불신과 의구심을 다시 확산시킬만한 재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중소형사들이 중국기업 상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견한 만큼 앞으로 중국기업 IPO는 연이을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풍부한 양만큼 적절한 ‘퀄리티 컨트롤’이 돼야 한다는 점이다. 

대형 증권사에서 IPO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기업들이 연이어 증시에 입성할 경우 나중에 한 기업에 문제가 생겼을 때 연쇄반응이 나올 수 있다”면서 “최근 중소형사들의 중국기업 유치경쟁에 대해 입체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