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이재용 부회장 징역 5년 선고
삼성 미래 '흐림'…'부정기업' 부담도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 복귀가 불발되면서 삼성의 앞날에 더 짙은 먹구름이 끼고 있다. 미래 먹거리 확보에 사실상 제동이 걸린 가운데 삼성은 기업 이미지에도 치명타를 입을 전망이다.

법원이 이 부회장에 대해 징역 5년을 선고하면서 경영공백 장기화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삼성은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김진동 부장판사)는 25일 열린 1심 선고공판에서 이 부회장에게 징영 5년형을 선고했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선고 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호송차에서 내려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부회장의 실형이 확정되면서 삼성 전체는 큰 충격에 빠졌다. 올해 초 미래전략실을 해산하고 계열사별 경영체제를 구축한 삼성은 구심점 없는 항해를 상당기간 지속해야 하는 상황이다. 삼성 측이 항고 후 상위 법원에서 결과가 뒤집힌다고 해도 이 부회장의 공백은 당분간 불가피한 상황이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그룹의 맏형격인 삼성전자다. 우선 이 부회장을 중심으로 추진해온 신성장동력 발굴 사업이 멈출 위기에 직면했다. 일각에서는 국내 경제를 대표하는 삼성전자의 성장세가 꺾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는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러나 이는 2~3년 전부터 준비한 결과물이라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지금 삼성전자가 머뭇거릴 경우 미래를 장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앞서 이 부회장은 미국 전장기업 하만과 인공지능(AI) 플랫폼 개발 기업 비브랩스, 루프페이 인수를 진두지휘 하며 삼성전자의 미래를 설계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이 자리를 비운 사이 삼성전자의 미래먹거리 발굴 사업은 사실상 스톱 상태다. 앞으로도 총수 중심의 대규모 투자가 쉽지 않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재계 관계자는 “우리 기업 현실에서 총수와 전문경영인과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며 “전문 경영인을 중심으로는 조단위 투자나 베팅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의 실형이 확정되면서 해외 거래선과의 관계악화는 물론, 소송 등의 후폭풍도 예상되고 있다.

실제 이 부회장 부재 후 삼성전자의 신성장 사업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부회장이 공들여 구축한 글로벌 네트워크가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실제 이 부회장이 지난 4월 피아트크라이슬러그룹(FCA)의 사외이사직에서 물러나는 등 삼성의 무형 자산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 삼성 서초사옥 하늘에 짙은 구름이 드리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삼성의 브랜드 가치 훼손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주요 외신들은 이 부회장의 실형이 확정되자 이를 긴급 뉴스로 타전했다.

재판부가 이 부회장과 삼성의 뇌물죄를 유죄로 판단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에 ‘비리기업’ 이라는 부담을 떠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삼성전자 등은 해외 주요 시장에서 대규모 과징금을 물거나 국제 소송전에 말릴 가능성도 있다.

이번 판결로 삼성이 미국의 '해외부패방지법(FCPA)'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FCPA는 미국 증시에 상장돼 있거나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하는 기업 또는 기업의 자회사가 적용 대상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상장 기업은 아니지만 2008년 해외부패방지법 개정으로 법 적용 범위가 확대돼 제재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FCPA 제재 대상으로 확정되면 과징금을 내고, 미국 연방정부와의 사업이 금지되는 등 미국 내 공공 조달사업에서 퇴출된다. 중국과 인도, 영국, 브라질 등에서 이와 유사한 형태의 부패방지법을 시행하고 있다.

여기에 앞으로 삼성전자의 해외 기술 기업 인수합병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