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다이빙벨 다이빙벨 민간 바지선에 있었을 뿐, 투입할 의사 없다

 
다이빙벨 논란이 가시지 않고 있다.
 
민간인의 다이빙벨 사용을 사고위험을 내세워 거부했던 정부 당국이 바지선에 또 다른 다이빙벨을 대기해 놓은 게 밝혀졌기 때문이다.
 
   
▲ 다이빙벨=온라인 커뮤니티
 
다이빙벨은 잠수부들이 오랜 기간 물속에 머물며 사고현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종의 휴식공간이다.
 
커다란 종모양의 구조물을 레인에 매달아 물속으로 집어넣고 설비 안에 형성된 에어포켓에 지속해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 장비가 침몰선 수색 및 구조에 유용하게 쓰였다는 내용이 SNS 등을 통해 퍼지며 세월호 구조작업에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다.
 
당국은 그러나 21일 실종자 가족의 요청을 받고 사고해역에 도달한 해난구조 전문가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의 다이빙벨 수중 투입을 거부했다.
 
당시 이종인 대표는 "해경 측에서 다이빙벨이 안전에 문제가 있고 구조작업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투입을 거부했다"고 밝혀 실종자 가족의 거센 반발을 샀다.
 
하지만 이틀 뒤인 23일 오전 해경과 계약을 맺은 국제구난협회 소속 '언딘'이 한국폴리텍대학 강릉캠퍼스 산업잠수관에서 다이빙벨을 빌려가 사고해역 인근에 대기시킨 사실이 드러났다.
 
일부 언론은 이 대표의 다이빙벨 사용은 불허하다가 뒤늦게 또다른 다이빙벨을 사용했다며 '뒷북 대책'이라고 주장했다.
 
··군 합동 수색본부는 "다이빙벨이 현재 사고 현장에 있는 것은 맞지만 아직 사용할 생각이 없다"고 해명했다.
 
대책본부 관계자는 "23일 오후 바지선으로 교체됐고 그 민간 바지선에 다이빙벨이 있던 것 뿐"이라며 "먼저 다이빙벨을 요청하거나 대여를 시도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공교롭게도 다이빙벨이 민간 바지선에 있었을 뿐, 수색에 사용할 의사는 없다는 의미다.
 
언딘 관계자는 다이빙벨을 설치한 이유에 대해 "현재 구조활동을 돕고 있다는 사실 외에 어떤 것도 밝힐 수 없다"며 답변을 피했다.
 
고발뉴스 이상호 기자는 24일 자신의 트위터에 "머리부위만 공기에 노출되는 일본형 장비로 감압에는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라고 꼬집으며, 현장에 투입된 2인용 다이빙벨 사진을 게재했다.
 
고발뉴스 등 공동취재팀은 전날 "알파잠수기술공사 이종인 대표가 구조당국의 불허로 다이빙벨을 투입하지 못하고 끝내 발길을 돌린 가운데 해경이 모 대학의 다이빙벨을 빌려 현장에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해군 관계자는 "다이빙벨은 이번 사고 해역과 같이 유속이 빠른 조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해경 다이빙벨 소식을 접한 네티즌은 해경 다이빙벨, 구조 현장에 다이빙벨 투입할 수 있으면 좋겠다”, “해경 다이빙벨, 유속 때문에 투입 힘들 듯”, “해경 다이빙벨, 해군 논리도 맞네”, “해경 다이빙벨, 다이빙벨이든 뭐든 모든 수단 동원해야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