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병화 기자] 오는 20일부터 단기임대주택을 준공공 또는 장기임대주택으로 전환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단기임대주택을 장기임대주택(준공공·기업형)으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주택임대관리업 등록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의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이 1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12일 밝혔다.

개정안은 관보게재 절차 등을 거쳐 오는 20일경 공포되며, 공포 후 즉시 시행된다. 

지금까지는 임대사업자 등록 신고시 처음 선택한 임대주택 유형을 중간에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이번 개정을 통해 임대의무기간 4년인 단기임대주택을 임대의무기간 8년인 기업형 또는 준공공 임대주택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장기임대주택으로 변경하는 경우 종전에 임대한 기간도 장기임대주택 임대의무기간에 포함해 임대사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임차인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했다. 

임대의무기간 기산시점도 명확히 했다. 현재 건설임대주택의 경우 입주지정기간 개시일부터 임대의무기간을 산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소규모로 임대주택을 건설·공급하는 경우 입주지정기간을 따로 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입주지정기간을 따로 지정하지 않은 건설임대주택의 경우 매입임대와 동일하게 임대차계약서상의 실제 임대개시일부터 임대의무기간을 산정하도록 해 임대사업자의 혼란이 없도록 조정했다.  

주택임대관리업 등록기준도 완화했다. 개정을 통해 주택임대관리업 등록시 필요한 자본금 요건을 완화(자기관리형, 2억→1.5억 이상)하고 전문인력 요건에 '부동산 관련 회사에서 5년 이상 근무하고 관련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을 추가했다.

아울러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의 최소 면적기준 개선했다. 그동안 도시지역과 도시와 인접한 비도시지역을 포함해 촉진지구를 지정하는 경우에 개발 가능한 최소 면적기준을 별도로 규정하지 않았다. 이에 각 지역의 최소 면적을 합해 2.5만㎡ 이상으로 유권해석을 해왔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도시와 인접한 비도시지역 만을 지정하는 경우보다 강화되는 문제가 있어 최소면적 기준을 2만㎡ 이상으로 적용하도록 개선했다. 
[미디어펜=김병화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