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인구 감소 시점이 애초 예상보다 최소 4년 더 빨라져 2027년쯤 인구 정점을 찍은 뒤 인구가 줄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7일 YTN에 따르면 정부가 정책 판단의 근거로 삼았던 인구 변화 예측치와 달리 인구 변화 속도가 빠르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장래 인구를 예측할 때, 출산율과 기대수명 등을 나눠 30개 시나리오로 제시한다.

정부는 평균적인 예측치인 '중위 추계'를 바탕으로 연금, 건강보험 등 재정 지출 계획을 마련한다.

지난해 말 중위 추계에 따르면 올해 여성 한 명이 평생 출산할 것으로 예상하는 합계 출산율은 1.2명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훨씬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현재 상황을 반영하면 인구 변화 시나리오 가운데 출산율을 최소 수준으로 
놓은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밝혔다. 

이 기준에 따르면 국내 인구는 오는 2027년 5200만 명을 정점으로 다음 해부터 감소할 전망이다. 

애초 정부 정책 근거였던 시나리오보다 인구 감소 시점이 4년 앞당겨진 것이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겹치면서 인구 구조 또한 급격히 변하게 된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저출산으로 인구가 감소하면 내수 시장이 위축돼 경제 성장률 저하 현상이 발생한다"며 "인구 구조가 고령화됨에 따라 (소비나 투자보다) 저축이 늘어나면서 경제 전반의 활력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의학의 발달로 기대수명이 정부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나 고령 인구가 더 많아질 거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가 인구 변화 속도를 안이하게 본다는 지적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