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격차는 경력연수, 사업체 규모, 근로시간 차이에 기인
[미디어펜=조우현 기자]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지난 2010년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4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추이 분석과 요인 분해' 보고서를 발표, "일부 우려처럼 증가하는 추세는 아니며 2016년 차별적 임금격차는 오히려 2009년과 2010년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경연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2009~2016년 자료를 사용해 상여금을 포함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16년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별적 임금격차는 약 23만원으로 2009년 28만원, 2010년 약 24만원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진성 연구위원은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총임금격차를 실제적인 격차로 볼 수 없으며 근로자의 개별 특성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을 제외한 차별적 임금격차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실질적인 임금격차로 해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경연은 "2016년의 경우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총임금격차는 166만원이었으나 이 가운데 86%에 해당하는 약 143만원은 근로자의 특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14%인 약 23만원만이 설명할 수 없는 차별적 임금격차"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2016년 기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총임금격차를 설명하는 가장 큰 요인은 경력연수라고 분석했다. 경력연수는 전체 총임금격차의 18.7%인 31만원을 설명한다. 

경력연수 다음으로는 사업체 규모(14.9%), 정규근로시간(14.0%), 교육수준(11.3%), 직업군(9.9%) 등의 순으로 임금격차에 대한 설명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에서의 비정규직 차별적 임금격차는 8만원으로 가장 낮아

업별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별적 임금격차를 분석한 결과 제조업에서의 차별적 임금격차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전체 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의 경우 2016년 차별적 임금격차는 약 8만원으로 나타났다"며 "추세적인 측면에서도 최근에 감소하고 있는 것(2014년 23만원 → 2015년 12만 원 → 2016년 8만원)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한편 차별적 임금격차가 가장 큰 산업은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으로서 2016년 차별적 임금격차는 248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 연구위원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는 총임금격차가 아니라 차별적 임금격차가 문제"라며 "개인의 특성으로 설명할 수 없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요컨대 차별적 임금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별로 차별적 임금격차의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만큼 차별적 임금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산업을 중심으로 해당 산업을 면밀히 검토해 그 산업에 적합한 맞춤형 차별개선 방안을 검토할 필요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문제는 근본적으로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이중구조에서 기인하는 만큼 정규직의 고용보호를 완화해 정규직-비정규직 이중구조를 해소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