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주석, 사드 언급 "계속 중시하고 적절히 처리하기를 바래"
   
▲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 서대청에서 열린 MOU 서명식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4일 세번째 정상회담을 갖고 전화통화와 서신교환 등 다양한 소통 수단을 활용한 정상간 ‘핫라인 구축’에 합의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양 정상의 확대 정상회담에 이은 소규모 정상회담 결과 브리핑을 통해 “양 정상간 협력을 정치‧외교‧안보‧정당 간 분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를 위해 정상 차원은 물론 다양한 고위급 수준의 전략적 대화를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문 대통령과 시 주석간 전화통화는 문 대통령의 취임 축하를 위해 단 한차례 있었던 것 외에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할 때에도 이뤄진 적이 없다. 그러던 것을 앞으로 한중 정상이 긴밀한 협의를 위해 전화통화를 일상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 지난 한중간 협력이 경제‧통상‧사회‧문화 및 인적교류 등으로 국한됐었지만 앞으로 정치‧안보 분야까지 확대시키자는 것으로 사실상 두 국가의 관계를 한단계 올리는데 가장 실효적인 기본을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윤 수석은 “오늘 확대 정상회담과 소인수 정상회담은 모두 합쳐서 2시간15분 정도 진행됐고, 무려 예상 시간보다 1시간 이상 길게 회의가 진행됐다”며 “그만큼 양국 정상간에 허심탄회하고 솔직하게 대화를 나눴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날 한중 정상은 핫라인 구축 외에도 한반도 문제에서 4대 원칙을 합의했다.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절대 용납할 수 없고, 한반도의 비핵화 원칙을 확고하게 견지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포함한 모든 문제를 대화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남북한간의 관계 개선으로 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 해결이다. 

또한 문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과 번영을 위해 한중은 물론 역내 국가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한미중, 한중일 등 다양한 형태의 3자 협의를 활성화하자고 제의했다. 

이와 관련해 양 정상은 북한의 도발 중단을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북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안보리 관련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을 포함해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유도하기로 했다. 

이날 한중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은 사드 문제를 언급했다. 

윤 수석은 “시 주석이 사드 문제와 관련해 중국 측 입장을 재천명하고, 한국 측이 이를 계속 중시하고 적절히 처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시 주석은 “좌절을 겪으면 회복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지금 양국 관계는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고, 이런 일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쓰고 관리를 잘 해나가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문 대통령은 지난 10.31 한중관계 개선과 관련한 양국간 협의 결과를 평가하고, “양국이 중대 관심사에 대한 상호존중의 정신에 기초해 양국 관계를 조속히 회복,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의 국빈 방중 초청과 따뜻한 환대에 감사의 뜻을 표하고, “이번 방문이 양국간에 아름다운 동행의 새롭고 좋은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난징대학살 80주년 계기에 문 대통령이 따뜻한 추모의 뜻을 표명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명했다.

또한 양 정상은 평창 동계올림픽이 양국간 인적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한반도와 동북아는 물론 전세계 인류의 평화와 화합을 위한 장이 되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시 주석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석을 초청했으며, 시 주석은 이를 진지하게 검토할 것이며 만약 참석할 수 없게 되는 경우 반드시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윤 수석이 전했다. 

그러면서 양 정상은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에 북한이 참가하는 것이 남북관계 개선 및 동북아 긴장 완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이를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