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천억 유상증자 등 공세 통해 위기 국면 정면 돌파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초대형 투자은행(IB) 단기금융업무 연내 인가에 실패한 미래에셋대우가 다른 방향으로의 영업활동에 나서며 활로를 모색 중이다. 그러나 미래에셋대우 특유의 지배구조가 현 정부의 개혁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되면서 향후 추가적인 갈등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래에셋대우는 7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초대형IB 단기금융업 심사에서 탈락한 위기를 오히려 ‘공세’로 전환하며 적극적인 활동에 나선 것이다.

   
▲ 사진=연합뉴스


아울러 발행어음업 대신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사업자에게 주어지는 ‘종합투자계좌(IMA)’ 업무를 먼저 개시해 단기금융업 인가 탈락의 공백을 메울 것으로 보인다. IMA 업무의 경우 기업금융 의무비율(70%)이 있는 점은 발행어음업과 유사하지만 발행제한이 없고 별도 인가도 필요 없다는 게 차이점이다.

외형상 미래에셋대우는 IMA 사업자가 될 조건을 거의 갖춘 상태다. 9월말 기준 자기자본은 약 7조 3000억원으로, 여기에 연간 순익 약 5000억원을 합산하면 대략 내년 초쯤 자기자본 8조원에 도달해 IMA 사업자 기준을 충족할 것으로 보인다.

일견 공격적인 경영활동을 하며 파죽지세의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는 듯하지만, 미래에셋대우를 바라보는 시선에는 우려도 섞여 있다. 미래에셋 특유의 지배구조가 현 정부의 기조와 마찰을 빚으면서 그룹 전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겠느냐는 지적이다. 

일단 미래에셋대우의 단기금융업 인가가 보류된 이유부터가 이 문제와 관계가 있다. 금융당국은 미래에셋그룹이 이른바 ‘일감몰아주기’ 의혹을 받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단기금융업 심사를 보류시켰기 때문이다.

문제가 된 계열사는 미래에셋컨설팅으로,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가족이 지분 91.86%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미래에셋컨설팅은 블루마운틴CC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사모펀드(PEF)를 통해 소유한 포시즌스호텔을 운영하고 있는데, 사실상 미래에셋그룹에서 운용하는 펀드에서 파생되는 일감을 박 회장 일가에게 몰아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바로 여기에서 제기됐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미래에셋그룹에 대한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맥락을 고려했을 때, 미래에셋대우의 ‘규제 리스크’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미래에셋그룹의 지배구조에 대해 그냥 넘어갈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면서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 간의 자사주 맞교환 역시 당국의 심기를 건드린 것으로 보여 앞으로 정부와의 공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